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대승장엄경론』의 여래장설=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Mahāyānasūtrālamkāra
著者 김준우 (著)=Kim, Jun-woo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93 n.0
出版年月日2020.12
ページ35 - 5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생
キーワード여래장; 자성청정심=prakṛtiprabhāsvara; 법성심=dharmatācitta; 원성실성; 진여=tathatā; 『대승장엄경론』; 『중변분별론』; pariniṣpannasvabhāva; Mahāyānasūtrālaṃkāra; Mahāyānasūtrālaṃkāra; Madhyāntavibhāgabhāṣya; tathāgatagarbha
抄録본고는 MSA9장 제37송에서 등장하는 “일체중생은 여래를 태아로 갖는다”는 여래장 문구에 근거하여 유식학파가 여래장을 어떻게 이해하였는지를 고찰한다. 이 문구는 여래장 계열의 문헌 중 가장 처음으로 성립한 문헌인 『여래장경』에서 제창된 것으로 『여래장경』의 핵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집약한 것이다. 바로 이 문구가 MSA9장 제37송에서도 인용의 형식으로 등장하고 있어, 유식학파가 여래장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단서를 제공해 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MSA9장 제37송에서 여래장이 어떤 문맥에서 등장하는지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유식학파가 여래장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으로 요약된다.
첫째, MSA9장 제37송에서는 모든 존재에 동일하게 존재하는 진여를 성자가 갖는 청정해진 진여와 중생이 갖는 아직 청정해지지 않은 진여로 나누고, 여래장을 이중 중생의 진여에 대응시키고 있다. 그리고 MSA9장 제22송에 의한다면 이 중생의 진여는 有垢의 진여이며, 성자의 진여와 마찬가지로 본래 청정하지만, 현재는 외래의 垢에 의해 염오되어 청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진여이다. 이와 같이 MSA9장 제37송과 MSA9장 제22송의 분석을 통하여 유식학파에게 있어 여래장이란 진여, 그 중에서도 본래 청정하나 외래의 垢에 의해 염오되어 현재는 청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有垢의 진여임을 도출하였다.
둘째, MAV1장 제22송과 MSA13장 제18송-19송은 진여와 동의어인 공성, 법계가 염오되고 청정해지는 과정을 초기불교이래의 자성청정심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로부터 유식학파가 자성청정심에 의거하여 여래장을 이해하였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셋째, MSA13장 제19송에서 자성청정심의 심은 법성심으로 해석되며 그 법성심은 안혜의 SAVBh 및 MAVṬ에서 원성실성으로 주석되고 있다. 이로부터 유식학파는 여래장을 원성실성에 배당시키는 방식으로 여래장이라는 개념을 자신들의 삼성설 체계 안에 포섭시켰음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Vijñānavādin understood tathāgatagarbha, based on the phrase “All living beings have a tathāgata as an embryo” in MSA9.k37. This phrase was declared in the Tathāgatagarbhasūtra, where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first appeared. The phrase appears in MSA9.k37, which provides some hints as to how the Vijñānavādin understood tathāgatagarbha.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in MSA9.k37, suchness (tathatā) is defined as an aspect that has an identical existence in all beings but that is divided into the “clean” suchness of saints and the “unclean” suchness of sentient beings. According to MSA9.k22, the suchness of sentient beings is defiled suchness (samalā tathatā) that was pure by nature but has been accidentally defiled. Therefore, the Vijñānavādin understood tathāgatagarbha to be the suchness of sentient beings that had been accidentally defiled.
Second, in MAV1.k22 and MSA13.k18-k19, the process of getting dirty and clean of śūnyatā and dharmadhātu, which are synonyms of suchness, has been explained since early Buddhism using the concept of a naturally pure mind that has been accidentally defiled (prakṛtiprabhāsvaracitta). From this, it is deduced that Vijñānavādin understood tathāgatagarbha through the prakṛtiprabhāsvaracitta.
Third, in MSA13.k19, prakṛtiprabhāsvaracitta is explained as the dharmatācitta, and, in SAVBh and MAVṬ, Sthiramati explains this dharmatācitta as the pariniṣpannasvabhāva. Therefore, it is deduced that the Vijñānavādin included tathāgatagarbha within the trisvabhāva system by allocating it to the pariniṣpannasvabhāva.

目次Ⅰ. 서론 37
Ⅱ. MSA9장 제37송의 여래장 해석 37
Ⅲ. 여래장과 자성청정심 44
Ⅳ. 여래장과 원성실성 49
Ⅴ. 결론 53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12.93.35
ヒット数310
作成日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743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