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도신과 원효의 수행관 -- 소위 ‘수일설’을 중심으로=Daoxin’s and Wonhyo’s Standpoint on Cultivation -- Focusing on the Theory of Guarding the One
著者 김영일 (著)=Kim, Yeong-il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84 n.0
出版年月日2018.09
ページ69 - 92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도신=Daoxin; 원효=Wonhyo; 능가사자기=Neungga-sajagi; 금강삼매경; 금강삼매경론; 존삼설; 수일설; Vājrasamādhi Sūtra; The Treatise on Vājrasamādhi Sūtra; The Theory of Preserving the Three; The Theory of Guarding the One
抄録본고는 중국 선종의 제4조인 도신(道信, 580-651)과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사상가 중의 한 분인 원효(元曉, 617-686)의 핵심 수행관을 『능가사자기』와 『금강삼매경론』를 주요한 텍스트로 하여 비교하여 살펴보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남아있는 연구 자료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연구의 구체적인 범위는 소위 ‘수일설(守一說)’을 중심으로 하되, 그 이전에 반드시 등장하고 있는 소위 ‘존삼설(存三說)’을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구체적인 논의에 앞서 두 분의 전체적인 수행체계를 대체로 비교해 보았다. 도신은 지체(知體), 지용(知用), 상각(常覺), 관공(觀空), 수일(守一) 등의 ‘5단계 수행’과 좌선(坐禪), 간심(看心), 사신(捨身) 등의 ‘3가지 수행’을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원효는 이입(理入)과 행입(行入)을 중심으로 하는 『금강삼매경』의 내용을 십신(十信),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 십지(十地), 등각(等覺), 묘각(妙覺) 등의 ‘대승보살 52계위’에 대비하여 정교하게 해설하고 있다.
둘째, 수일설 이전에 반드시 등장하고 있는 ‘존삼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신에게 있어서 존삼설이란 ‘관신공적(觀身空寂)’을 말하는데, 이는 제행이 무상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몸의 6가지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이 공(空)한 것을 알고 마침내 3가지 해탈을 성취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원효에게 있어서 존삼설이란 ‘존삼해탈(存三解脫)’을 말하는데, 이는 수행자가 3가지 지혜로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이 공하다고 판단하면 얻게 되는 3가지 해탈[三解脫]을 간직[存]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셋째, 존삼설 이후에 등장하는 ‘수일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도신에게 있어서 수일설이란 ‘수일불이(守一不移)’를 말하는데, 이는 수행자가 하나의 사물[一物]을 주의 깊게 바라보되 끊임없이 계속하며 움직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원효에게 있어서 수일설이란 ‘수일심여(守一心如)’를 말하는데, 이는 수행자가 선정에 들어가거나 나오거나 상관없이『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일심(一心)의 진여문(眞如門)을 항상 가슴에 지키는 것[守]을 말하고 있다.

This paper is interested in the standpoint on cultivation between Daoxin (道信) (one of the masters in the early Chinese chan Sect) and Wonhyo (元曉) (one of the representatives in Korean Buddhism).
Before investigating the important theories of the two masters, we should briefly know their system of Buddhist cultivation. Regarding the system, Daoxin’s consists of his own 5 steps and 3 methods of cultivation in the Neungga-sajagi, while Wonhyo’s system has several cultivations in the Vājrasamādhi Sūtra.
First, there is the theory of Preserving the Three. Daoxin teaches that after understanding the teaching, ‘every karma is changing’, the practitioners could know that their six sense organisms and objects are empty and they could then attain ‘the three salvations’. Wonhyo explains that practitioners preserve the ‘three salvations’ which are the results of knowing that their six sense organisms and objects are empty.
Moreover, there is the theory of Guarding the One. Daoxin speaks that the practitioners should observe 'the One Thing (一物) without moving constantly and he then explains the theory with several interesting similes like archery. Wonhyo interprets that the practitioners should keep in mind at any time ‘the Suchness aspect of mind(心眞如)’ which is from the Treatise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目次I. 서언 71
II. 수행체계 72
1. 도신의 수행체계 73
2. 원효의 수행체계 75
III. 존삼설 78
1. 도신의 ‘관신공적(觀身空寂)’ 78
2. 원효의 ‘존삼해탈(存三解脫)’ 81
IV. 수일설 83
1. 도신의 ‘수일불이(守一不移)’ 84
2. 원효의 ‘수일심여(守一心如)’ 86
V. 결어 88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8.09.84.69
ヒット数48
作成日2022.08.23
更新日期2022.08.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15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