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불교의 여신 마리지천에 대한 동아시아의 신앙 문화=The Buddhist Goddess Mārīcī and Her Cult in East Asia
著者 조승미 (著)=Cho, Seung-mee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75 n.0
出版年月日2016.06
ページ231 - 256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
キーワード마리치=Mārīcī; 마리지천=摩利支天=Marishiten; 마리지천도량; 전쟁의 여신=Warrior Goddess; 두모=斗母=Doumu; 묘통사=妙通寺=Myotongsa Temple; 불공(不空)삼장; Marishiten Ritual=摩利支天道場; Amoghavajra
抄録마리치(Mārīcī)는 불교의 전쟁의 여신으로서, 인도와 티벳 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일찍부터 관련 경전과 도상이 소개되면서, 다양하게 그 신앙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서 마리치가 어떤 내용으로 신앙되었고 그 특징이 무엇인가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는 마리지천 경전이 여러 종류가 번역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은 『다라니집경』에 속해 있는 『마리지천경』과 8세기 불공 삼장이 번역한 경전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송대 천식재가 번역한 『대마리지보살경』 등이다. 마리치 신앙이 중국 당나라 왕실에서 시행되도록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불공 삼장이었다. 이후 고려 왕실에서는 이 문화를 수요하여 여러 가지 재난을 막기 위해서 마리지천 도량을 개설하였다.
그런데 고려의 강화 천도 이후에는 마리지천 도량이 개설되지 않았고 묘통사 행차가 더 빈번하게 이루어졌는데, 본 고에서는 그 이유를 경전별 마리지천의 특성 차이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즉, 대몽항전 시기에는 전쟁의 여신 성격이 강한 천식재본 마리지천 신앙의 요구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 송대 천태종 승려들은 마리지천을 불교의 주요 신격에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는데, 소위 20제천이 그것이며, 이에 대한 의례를 정기적으로 시행했다. 조선 후기 불교의례집 『작법귀감』에는 이것이 반영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의 마리지천 신앙은 진언종과 임제종, 법화종이 그 신앙 유포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에는 특히 무사들의 수호신이자 전쟁승리의 신으로서의 신앙이 성행하였다. 동아시아 마리지천 신앙문화 중 흥미로운 점은 중국에서는 도교의 여신 두모(斗母)와 융합되고, 일본에서는 신도의 신이 되면서 다양하고 세속적인 성격을 담지한 민간신앙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Mārīcī is known as a goddess of war in Buddhism, whose cult has been developed diversely not only in India and Tibet but also in East Asia with the earlier introduction of the scriptures and images related to her.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what is contained in her cult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focusing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Hence diverse scriptures related to Mārīcī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representative ones including the Marishten sūtra in the Collected Dhāraṇī-sūtras (陀羅 尼集經), the texts translated by Amoghavajra (不空) in 8th century, and the Exalted Bodhisattva Mārīcī(大摩里支菩薩經) translated by Tiān Xīzāi (天息災) in the Song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the Mārīcī cult in the court of Tang dynasty in China was greatly due to Amoghavajra (不空). Hence the court of Goryeo in Korea began to hold the Marishten rituals actively to avoid various disasters, inheriting the cultural aspects of the cult from China, especially at the uniquely appointed temple of Myotongsa.
Marishten rituals, however, were not held after the period of Goryeo's opposition to the Mongol invaders, whose reason might found in the difference of the kinds of the scriptures related to Marishten. In other words, the rituals were based upon the Mārīcī cult before the translation by Tiān Xīzāi, while his translation reveals typically strong traits of the warrior goddess.
Monks of the Tientai Order in Song dynasty in China included Marishiten officially in 20 major Buddhist deities, holding the rituals regularly, whose continuity is observed in their inclusion in the Buddhist ritual tex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Lastly, in Japan, Marishiten has been worshipped as a guardian of warriors and as a goddess for victory at war, whose remains are still visible today. Most interestingly, Marishiten has been synthesized with Doumou (斗母), a Daoist Goddess, in China, while she has become an object of folklore cults with rather secular characteristics by transforming herself into a Shinto kami in Japan.
目次한글요약 232
Ⅰ. 서언 233
Ⅱ. 마리치 여신의 성격 234
Ⅲ. 중국에서의 마리지천 신앙 238
Ⅳ. 한국의 마리지천 의례 243
Ⅴ. 일본에서의 마리지천 신앙 247
Ⅵ. 결어 250
참고문헌 252
Abstracts 255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6.06.75.231
ヒット数41
作成日2022.09.11
更新日期2022.09.1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864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