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중국불교의 頌讚문학=On Hymnal Literature of Chinese Buddhism |
|
|
|
著者 |
조명화 (著)=Cho, Myung-hwa (au.)
|
掲載誌 |
불교학보=佛教學報
|
巻号 | v.60 n.0 |
出版年月日 | 2011.12 |
ページ | 293 - 314 |
出版者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出版サイト |
https://abc.dongguk.edu/kbri/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서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
キーワード | 頌讚文學=Hymnal Literature=頌讚문학; 梵唄=Fanbai; 偈=gatha; Buddhist chant=轉讀; 發願文=prayer sentences |
抄録 | 본고는 불교를 매개로 한 인도문학이 중국의 문학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피는 작업 가운데 頌讚문학이라는 방면에 대해 살핀 작업이다. 본고에서 필자의 가장 우선하는 목표는 불교의 유포가 중국문학의 영역을 어느 정도 확장하였는가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頌讚문학작품 낱낱에 대한 분석은 다루지 않았다. 頌讚이란 것은 음악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梵唄나 轉讀과 같은 중국 불교음악의 출발에 대해서도 동시에 언급하였다. 개괄적으로 보았을 때 중국불교의 송찬문학은 송찬음악에 실어 부르는 가사에서 출발한다고 본다. 즉, 초기에는 번역문학으로서 출발한 것이다. 그러다가 중국화한 頌讚문학이 나타나게 되는데, 주로 집회의 의식에 사용되는 頌讚文이나 禮敬文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자신의 소원을 불보살께 비는 發願文이나, 자신의 業障을 뉘우치는 懺文 등 개인적 차원의 문학작품들이 주제에 따라 나타나게 된다. 문학의 형식에 의한 구분을 하자면, 중국문학 여타 장르와 마찬가지로, 詩와 같은 운문 뿐 아니라 압운이 된 중국식 산문인 賦나 辭 등도 두루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various aspects of Hymnal Literature(頌讚文學),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Indian literature based on the Buddh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The extent to which the spread of Buddhism expanded the domain of the Chinese literature is mainly discussed. For that purpose, the particular works of Hymnal Literature are not analyzed. Because Hymnal Literature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music, the beginning of the Chinese Buddhist music, such as Fanbai(梵唄) & Buddhist chant(轉讀), is also examined. Generally speaking, Hymnal Literature of Chinese Buddhism emerged as the lyrics of Hymnal. That is to say, it started as a translation of the literary works. Hymnal Literature in China gradually gained the Chinese features, at first as a form of hymnal sentences(頌讚文) or worship sentences(禮敬文) that was used mainly for the ceremonies of rituals, and later as literary works of the individuals, such as prayer sentences(發願文) which was to make a wish to Buddha & Bodhisattva, or confessional sentences(懺文) which was written to repent one's karma. If we classify Hymnal Literature according to the literary form, we can find Fu(賦) or Ci(辭), a form of the Chinese rhymed prose, as well as the various forms of verse like poetry.
|
目次 | I. 불교의 유입에 따른 중국문학 영역의 확장 294 II. 중국불교 頌讚문학의 시작 300 III. 중국불교의 頌讚음악 304 IV. 중국불교 頌讚문학의 부류 306 V. 맺음말 310 |
ISSN | 12261386 (P) |
ヒット数 | 4 |
作成日 | 2022.09.24 |
更新日期 | 2022.09.24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