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日本近代仏教と大蔵会 ―大蔵会が仏教研究に果した役割=현대 일본불교와 대장회 - 대장회가 불교연구에 미친 영향 |
|
|
|
著者 |
馬場久幸 (著)=Baba, Hisayuki (au.)
|
掲載誌 |
불교학보=佛教學報
|
巻号 | v.59 n.0 |
出版年月日 | 2011.09 |
ページ | 237 - 256 |
出版者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出版サイト |
https://abc.dongguk.edu/kbri/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日文=Japanese |
ノート | 佛敎大学 非常勤講師 |
キーワード | 大蔵会=대장회; 東寺観智院金剛蔵=동사관지원금강장(; 往生要集依憑記=왕생요집의빙기; 종존판대장경=宗存版大蔵經; 浄土教版=정토교판 |
抄録 | 대장회(大藏會)란 大正天皇 즉위를 기념하여 도쿄(東京), 교토(京都), 나고야(名古屋) 등에서 개최된 불교 행사를 말한다. 大正 3년(1914)에 東京에서 처음으로 열리고, 이듬해에는 교토에서, 昭和 8년(1933)에는 나고야에서 열렸다. 대장회에서는 매년 테마를 정하고 각 사원에 소장되어 있는 수많은 경전 및 전적들이 전관되었다. 사원에 따라서는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는 경전들이 전관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전관이 그 후 불교 연구에 미친 영향은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일본의 근대 불교 연구에 있어서 대장회가 미친 영향에 대해 평가된 적이 없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도쿄 대장회와 교토 대장회의 개최 취지의 차이점에 대해 검토하고 또 대장회에서 전관된 각 사원 소장의 경전 및 전적들이 일본 근대이후의 불교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였다. 도쿄 대장회와 교토 대장회의 개최 취지에 대해 검토한 결과 도쿄 대장회는 법보의 번역, 전래, 조조 등에 이바지한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그 취지로 삼고 있으나 교토 대장회는 법보 자체를 공양하는 것을 취지로 삼고 있다. 또 대장회에서 경전 및 전적들이 전관된 것으로 인해 새로운 발견을 찾았고, 또 불교 각 분야 연구의 기초를 쌓게 된 것이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3가지 사례를 들어 검토하였다. 첫째, 동사 관지원 금강장(東寺觀智院金剛藏)의 경전 및 전적들의 공개로 인해 지금까지 산일되었다고 생각되어 왔던 『왕생요집의빙기(往生要集依憑記) 』가 무사히 남아 있었고 그것이 천태 정토교의 동향과 함께 그 전체상을 밝히기 위한 자료가 됨을 알게 되었다. 둘째, 일본에서 조조된 대장경의 처음 사례는 덴까이(天海)의 『천해판대장경(天海版大藏經) 』이라고 생각되어 왔지만 대장회에서의 전관으로 인해 그 보다 전에 슈우존(宗存)에 의해 이루어진 『종존판대장경(宗存版大藏經) 』의 존재가 있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지금까지 春日版이나 高野版의 범주로 생각되어 왔던 정토교에 관한 경전 및 전적들이 실은 「정토교판」이라는 새로운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일본 인쇄문화의 변천에 있어서 「정토교판」의 존재는 소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大蔵会とは、大正天皇の即位を記念して、東京、京都、名古屋などで開催された仏 教行事である。大正3年(1914)に東京で開催されたのが最初であり、その翌年には京都 で、昭和8年(1933)には名古屋でそれぞれ開催された。 その大蔵会では、毎年テーマを決めて各寺院が所蔵する多数の経典が展観された。 寺院によっては、これまで秘蔵とされてきた経典が公開されたこともあった。こうした展観 が、その後の仏教研究に及ぼした影響は大きいと思われる。しかし、これまでの日本の近 代仏教研究において、大蔵会が果した役割について評価されたことはなかった。そこで、 本論文では、まず東京大蔵会と京都大蔵会の開催趣旨の違いについて検討し、また、大 蔵会によって展観された各寺院所蔵の典籍類が、近代以降の仏教研究にどのような役割 を果たしたかについて検討した。 その結果、東京大蔵会と京都大蔵会の開催趣旨について、前者は主に法宝の翻訳や伝来、雕造に貢献した者を鑽仰することを趣旨としているが、後者は法宝自体を供養す ることを趣旨としており、根本的に違っている。 また、大蔵会での経典及び典籍の展観によって、新たな発見があり、仏教各分野の 研究の礎を築いた。ここでは、それについて3つの事例を挙げて検討した。最初に、東寺 観智院金剛蔵の経典及び典籍の公開によって、今まで散逸したと思われていた『往生要 集依憑記』が存在しており、それが日本の天台浄土教の動向や全体像を明らかにするた めの資料になることがわかった。次に、日本で最初に大蔵経の刊行に着手したのは、天海 僧正の『天海版大蔵経』と言われてきたが、それ以前に宗存が『宗存版大蔵経』の刊行に 着手し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最後に、これまで春日版や高野版の範疇とされてきた浄土 教関係の経典及び典籍は、「浄土教版」という新たな範疇に入ることがわかった。日本で の印刷文化の変遷において、「浄土教版」の存在は重要な意味を持っている。
대장회(大蔵会)란 大正天皇 즉위를 기념하여 도쿄(東京), 교토(京都), 나고야(名古 屋) 등에서 개최된 불교 행사를 말한다. 大正 3년(1914)에 東京에서 처음으로 열리고, 이듬해에는 교토에서, 昭和 8년(1933)에는 나고야에서 열렸다. 대장회에서는 매년 테마를 정하고 각 사원에 소장되어 있는 수많은 경전 및 전적 들이 전관되었다. 사원에 따라서는 지금까지 공개된 적이 없는 경전들이 전관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전관이 그 후 불교 연구에 미친 영향은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일본의 근대 불교 연구에 있어서 대장회가 미친 영향에 대해 평가된 적이 없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도쿄 대장회와 교토 대장회의 개최 취지의 차이 점에 대해 검토하고 또 대장회에서 전관된 각 사원 소장의 경전 및 전적들이 일본 근대이후의 불교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였다. 도쿄 대장회와 교토 대장회의 개최 취지에 대해 검토한 결과 도쿄 대장회는 법보 의번역, 전래, 조조등에이바지한사람을공경하는것을그취지로삼고있으나교 토 대장회는 법보 자체를 공양하는 것을 취지로 삼고 있다. 또대장회에서경전및전적들이전관된것으로인해새로운발견을찾았고, 또불 교 각 분야 연구의 기초를 쌓게 된 것이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3가지 사례를 들어 검토하였다. 첫째, 동사 관지원 금강장(東寺観智院金剛蔵)의 경전 및 전적들의 공개 로 인해 지금까지 산일되었다고 생각되어 왔던 왕생요집의빙기(往生要集依憑記) 가 무사히 남아 있었고 그것이 천태 정토교의 동향과 함께 그 전체상을 밝히기 위한 자료가 됨을 알게 되었다. 둘째, 일본에서 조조된 대장경의 처음 사례는 덴까이(天 海)의 천해판대장경(天海版大蔵經)이라고 생각되어 왔지만 대장회에서의 전관으 로 인해 그 보다 전에 슈우존(宗存)에 의해 이루어진 종존판대장경(宗存版大蔵經) 의 존재가 있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셋째, 지금까지 春日版이나 高野版의 범주로 생 각되어 왔던 정토교에 관한 경전 및 전적들이 실은 「정토교판」이라는 새로운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일본 인쇄문화의 변천에 있어서 「정토교판」의 존재는 소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目次 | I. はじめに 239 II. 大蔵会のはじまり 240 III. 秘蔵経典類の公開 244 IV. 日本で最初に開版された大蔵経の存在とその研究成果 247 V. 浄土教版の研究 250 VI. おわりに 251 |
ISSN | 12261386 (P) |
ヒット数 | 170 |
作成日 | 2022.09.24 |
更新日期 | 2022.09.24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