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佛敎袈裟의 기원과 내포의미 고찰 - 律藏과 인도문화의 특수성을 중심으로=A Consideration on Origin and Implication of Buddhist kasaya -focusing on Vinaya-pitaka and Peculiarity of Indian Culture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58 n.0
出版年月日2011.07
ページ7 - 34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철학과 강사
キーワード袈裟=kaṣāya; 律藏=Vinaya-piṭaka; 割截衣; 糞掃衣; 頭陀行; 中道主義; 壞色; 통천; 卷衣形; 服飾; pāṃsu-kūla; dhūta conduct; centrism; kaya color; whole un-cut cloth; drapery; costume
抄録지금까지의 佛敎袈裟에 관한 연구는 服飾적인 관점에서 가사의 기원이나 색깔, 내지 재질과 형태 등에 관한 것이 주류를 차지했다. 그리고 사상적인 관점에서는 한국전통가사와 관련된 다소의 연구가 있을 뿐이다. 본고와 같은 경우는 불교가사의 來源을 律藏을 바탕으로, 문화와 사상적인 입각점에서 보다 치밀하고 종합적으로 모색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Ⅱ장에서는 먼저 가사라는 특수한 의복의 기후문화적인 특징을 중국문화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사의 長方形의 형태에 의한 용도적인 다양성을 살펴, 가사가 ``尼師壇``과 ``요``, 내지 ``베개``와 ``의사표현도구``로도 사용되었다는 점을 정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佛傳과 律藏의 가사기원에 대한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는 인도수행전통의 가사를 넘어선 불교가사의 제정에 관한 명확한 인식을 도출케 해준다. 끝으로 제Ⅳ장에서는 분소의의 전통에서 통천의 수용이라는 과도기를 거쳐 割截衣가 완성되는 측면에 관한 의미모색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붓다의 中道主義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당시의 시대상황 변화와 의복을 통한 재가인과의 관계성 등이 고려된 결과이다. 불교가사의 정립은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요청과, 붓다의 중도주의적인 관점에서의 유연성에 의한 변화의 수용에 따른 결과였다. 그러나 이렇게 제시된 새로운 복제는 곧 실용성이라는 부분에 의해 개량되면서, 점차 불교가사만의 특수성으로 완성되어지게 된다.

Up to now, the studies on the Buddhist kaṣāya(monk robe) have mainly focused on the robe's origin, color, material and shape etc. in respect of costume.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monk robes in the viewpoint of idea.
In this paper, the origin of Buddhist kaṣāya is researched more comprehensively and thoroughly in viewpoints of culture and idea on the basis of Vinaya-piṭaka. For this, the climatic and cultural features of a special costume kaṣāya were examined in comparison with Chinese culture in Chapter II. Based on it, the diverse uses of rectangular kaṣāya were checked and it turned out that the kaṣāya was used as ‘niṣīdana’(seat cushion), ‘mattress’, ‘pillow’ and ‘expression device of intention.’
Chapter III deals with the difference of Buddhist tradition and Vinaya-piṭaka in the origin of kaṣāya. It gives a clear recognition o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kaṣāya different from Indian traditional ascetic robe.
Finally Chapter IV deals with the implication of the process that the kaṣāya came from the tradition of pāṃsu-kūla(dirty ragged clothes), the whole un-cut cloth was accep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and the rectangular dress was accomplished at last. Such change was resul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situations and connection with people staying at home through the clothes in the viewpoint of Buddha's centrism.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kaṣāya was the result of flexibility to accept the change and the request of the times in the viewpoint of Buddha's centrism. But the new clothing system suggested like this was reformed by the practicality and came to be completed gradually into the peculiarity of Buddhist kaṣāya.
目次I. 序論 9
II. 袈裟의 문화적인 특징과 특수성 10
III. 불교가사의 연원 18
IV. 糞掃衣와 割截衣 26
V. 結論 36
ISSN12261386 (P)
ヒット数37
作成日2022.09.24
更新日期2022.09.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75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