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馬祖 平常心의 이중적 考察=A Study on the two facets of Ma-tsu`s "ordinary mind"
著者 박규리 =Park, kyu-ri
掲載誌 불교학보=佛教學報
巻号v.58 n.0
出版年月日2011.07
ページ77 - 10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サイト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 박사과정 수료
キーワード마조=Ma-tsu; 평상심=ordinary mind; 본래적 평상심=The noumenal mind; 생사적 평상심; 즉심시불=Mind is the Buddhha; The phenomenal mind
抄録平常心是道는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의 禪旨를 대변하는 주요명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평상심``이라는 말은 그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쉽고 편한 느낌으로 인하여 특별히 우리에게 친근한 개념이 되었다. 그러나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발동시키며 살아가는 평상심과 같은 것일 수는 없다고 짐작된다. 그렇다면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과 일상의 삶 속에서 통용되는 평상심은 과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馬祖語錄』에서 말하는 평상심은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 의미의 평상심과는 다르다. 마조의 ``평상심``은 모든 인간과 사물이 가지고 있는 진실한 體性인 ``法性``에 상응한 모습 그대로인 一心의 本來淸淨地으로써, 깨달음 자체를 말한다. 따라서 마조가 제시하는 평상심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작위 분별적 사유의 틀을 넘어서는 직관과 통찰이 필요하다. 한편,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작동시키며 살아가는 그 마음과 전혀 별개인 것만도 아니다. 평상심이란 諸法의 근원으로서의 心地를 통칭하면서 또한 외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도 종합적으로 뜻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마조는 개인이 각자 속한 세계, 그 현장에서 살아가며 일으키는 마음 자체를 구도의 직접적인 대상으로써 평상심이라 일컫기도 한다. 그렇다면 마조 평상심의 다각적인 의미의 실체와 그 해석에 관한 접근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법으로써 평상심을 본질과 작용의 이중적 측면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상심의 眞義와 그 구체적 含意를 조명하는 일이 본 논문의 세부적 목표가 된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 마조의 주요 테제 중 하나인 ``평상심`` 자체에 국한하여 진행되었다는데 그 독창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평상심``에 대한 막연한 추측과 그로 인한 해석적 오류를 줄임으로써 마조선의 핵심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실천적 계기가 되리라 전망한다.


“The ordinary mind is Tao(平常心是道)”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rases that express the very core of Ma-tsu Tao-i's(馬祖道一, 709-788) Seon(禪, Ch’an, Zen) doctrines. It is tantamount to saying ‘Tao is nothing but the ordinary mind of us.’ This proposition of Ma-tsu is as perplexing as a kung-an for us, because we regard Tao as something very special, transcendental and super-empirical.
Although the term “ordinary” is tricky, at least it seems clear that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cannot be the same as our mind we activate in our everyday routi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hat did Ma-tsu want to mean when he still chose the term “ordinary”? The purpose of thesis is to find out answers to those questions.
To say the conclusion first, what Ma-tsu yü-lu(馬祖語錄) calls “the ordinary mind” is different, but not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It is different from our ordinary mind in that it refers to Ma-tsu's enlightenment itself and thus implies the very core of the Patriarchal Seon that was originated from Ma-tsu. In order to attain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we need to overcome and go beyond the ‘ordinary’ mode of our mind for an insight and intuition into the truth. We, unenlightened ‘ordinary’ persons, do not have such an insight and intuition.
Ma-tsu's “ordinary mind,” however, is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that operates in our everyday activities. It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 of all dharmas’ on one hand, and also to our mind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outer world. Each individual person activates his/her mind in all the diverse modes in the milieu of his/her life. When Ma-tsu said “The ordinary mind is Tao,” he meant that our mind itself, in all the variety of modes in the midst of our lives, is what we should get enlightened to in our efforts for attainment of Tao. Here lies the revolutionary feature of Ma-tsu's doctrine that cannot be seen in previous Seon masters' teachings.
The two facets of Ma-tsu's “oridinary mind” may be called, for convenience, ‘the noumenal mind’ and ‘the phenomenal mind’ respectively. ‘The nou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al truth itself. It is called “ordinary” in that sense. ‘The pheno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in samsara, i.e., in everyday lives of sentient beings. It is also called “ordinary,” but here in the sense of ‘routine’ or ‘of the ordinary (unenlightened).’
Seon is all about enlightenment. Enlightenment in turn is all about liberation from the grasp of or attachment to any frame of conventional dichotomous concepts. A concept is established depending upon its opposite, i.e., only when it is located in a dichotomous pair. ‘Buddha’ for example is meaningless without ‘sentient beings.’ “The noumenal mind,” or the mind of Seon enlightenment, likewise, is meaningless separately from the matter of “the phenomenal mind,” or the ordinary mind of ordinary people. These two facets of Ma-tsu's “ordinary mind” thu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i and
目次I. 들어가는 말 79
II. 평상심의 사상적 고찰 80
III. 평상심의 접근법 88
IV. 나가는 말 95
ISSN12261386 (P)
ヒット数15
作成日2022.09.24
更新日期2022.09.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4977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