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씨앗으로부터 싹의 발생: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와 후기 유가행파의 存在와 因果=The Production of a Sprout from a Seed: Existence and Causation in the Nyāya-Vaiśeṣika and the Later Yogācāra Schools
著者 우제선 (著)=Woo, Je-son (au.)
掲載誌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巻号v.37 n.0
出版年月日2012
ページ371 - 393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キーワード因=cause; 果=effect; 因果效力=causal efficiency; 主要因=main cause; 補助因=auxiliary cause; 共同因=cooperating cause; 씨앗=seed; 싹=sprout
抄録다르마끼르띠(Dharmakīīrti, ca. 600-660)가 存在(sattva)를 因果效力으로 정의를 한 이래, 존재와 因果는 인도 종교철학에서 주요 논제가 되었다. 브라만교의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와 불교의 후기 유가행파는 이 주제에 대해 오랜 기간 논쟁을 해 왔다. 핵심 쟁점은 씨앗으로부터 싹의 발생을 인과론적으로 어떻게 설명하는가이다. 니야야-바이세쉬까 학파의 입장에서 씨앗은 지속하는 것이다. 이것은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씨앗은 일정 시간동안 흙, 수분 등의 도움을 받을 때 이 잠재력을 현실화해서 싹을 생산한다. 하지만 이것은 싹 이외의 것의 생산에 관여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후기 유가행파의 입장에서 씨앗은 찰나 생멸하는 것이다. 싹을 실제 생산하는 因은 씨앗의 맨 마지막 찰나이다. 이 씨앗의 찰나가 동일한 찰나에 있는 흙, 수분 등과 공동으로 싹을 생산한다. 아울러 이것은 싹의 맨 처음 찰나주위에 있는 흙, 수분 등에도 영향을 끼친다.

Ever since Dharmakīrti defined existence (sattva) in terms of causal efficiency (arthakriyā), causation has been a central topic of debates between the later Yogācārins and their rival Naiyāyikas. One of the points at issue is how to explain the production of a sprout from a seed. In the Nyāya-Vaiśeṣika view, a seed is non-momentary. It has the potentiality to produce a sprout. A seed and its auxiliary causes have the relation of the assisted and assistants. The seed gets help from soil, water, and so on and then it produces a sprout. In the later Yogācāra view, on the other hand, a seed is momentary. It is the actual producer of a sprout. Mutual help is impossible for a seed and soil, water, and so on at the same moment. They produce a sprout as an individual entity. The Naiyāyikas insist that a seed produces only a sprout but nothing else. So, their causality is one-one relation. However, the later Yogācārins explicate that a seed participates in producing both a sprout and soil, etc. So, their causality is one-many relation.
目次1. 들어가는 말 374
2. 因의 정의 375
3. 因果關係 377
4. 因果論의 적용 380
4.1. 의존성과 개별성 380
4.2. 단일성과 다수성 384
5. 나오는 말 386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2..37.010
ヒット数85
作成日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375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