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싸꺄빤디따(Sa skya paṇḍita)의 마하무드라(Mahāmudrā) 비판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Thub pa'i dgongs pa rab tu gsal ba)』 「반야바라밀」장을 중심으로=Sa skya paṇḍita’s Critique on the Great Seal (Mahāmudrā) : In the Chapter on the Perfection of Discriminative Understanding in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Thub pa'i dgongs pa rab tu gsal ba)
著者 차상엽 (著)=Cha, Sang-yeob (au.)
掲載誌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巻号v.37 n.0
出版年月日2012
ページ395 - 429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HK교수
キーワード싸꺄빤디따 뀐가걜챈=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 1182-1251;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툽빼공빠랍뚜쌜와=Thub pa'i dgongs pa rab tu gsal ba=彰密意論; 쌈얘 논쟁=쌈얘쬐빠=bSam yas rtsod pa=bSam yas debate; 마하무드라=챡갸첸뽀=Phyag rgya chen po=Mahāmudrā 大印=great seal; 만병통치약=까르뽀칙툽=dkar po chig thub=self-sufficient white remedy
抄録본고에서는 싸꺄빤디따 뀐가걜챈(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이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Thub pa'i dgongs pa rab tu gsal ba)』의 「반야바라밀」장에서 꺄규학파의 마하무드라 교의와 수행체계를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싸꺄빤디따의 생애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싸꺄빤디따는 까규학파 마하무드라의 교의와 수행체계에 대한 가르침을 찌오해빠 쟝춥외(sPyi bo lhas pa Byang chub 'od)로부터 수학하였으며, 쟝춥외는 둑빠 까규빠('Brug pa bKa' brgyud pa)인 도르제낼조르마(rDo rje rnal 'byor ma, Vajrayoginī)의 제자인 냰[혹은 둡첸] 쳄부빠(gNyan [Grub chen] Tshem bu pa, ?-?)로부터 가르침을 배웠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세 가지 율의를 명료하게 변별함(sDom gsum rab dbye)』과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의 내용을 비교해본 결과 첫 번째 내용의 유사성, 두 번째 하나는 운문 형식을 지니고, 또 다른 하나는 산문의 형식을 가진 문헌이기 때문에 아마도 서력기원 후 1231-1233년 사이에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을 저술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의 텍스트로 현재까지 두 가지 목판본과 세 가지 사본이 존재한다는 것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이 『대승장엄경론』 제19장 61-62게송에 의거해서 그 주제를 배치하고 있으며, 아울러 『붓다의 의도를 명료하게 밝힘』의 전체적인 구성과 「반야바라밀」장의 내용도 도표에 의거해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불교 학파 안에 부정해야만 하는 견해, 즉 분별론자와 경량부 논사를 포함하는 성문의 견해, 유식과 중관의 교의를 잘못 이해하고 상단의 극단에 빠진 대승의 견해, 그리고 성문과 대승 경전에 포함되지 않는 가르침을 주장하는 이들의 견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성문과 대승 경전에 포함되지 않는 가르침이란 쌈얘 논쟁의 주인공 중 한명이었던 마하연의 설과 마하연의 견해를 따르는 유사 마하무드라의 교의와 수행체계를 지시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싸꺄빤디따의 마하무드라 비판은 주로 경전 전거와 까말라씰라의 비유와 논지에 의거한 것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지혜와 방편이 깨달음에 의해 완전히 구현된다거나, 단 하나의 종교적 실천만으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하얀색의 만병통치약’의 비유, 본연의 마음을 아는 것만으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중국 화상의 견해를 마하무드라 수행이 차용한 것이라고 싸꺄빤디따가 생각하였기 때문에 인도 전통의 마하무드라 교의체계와 수행체계를 전혀 닮지 않은 유사 마하무드라 수행이 바로 13세기에 유행하던 티벳의 마하무드라 수행이라고 싸꺄빤디따는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purports to examine how Sa skya paṇḍita Kun dga' rgyal mtshan (1182-1251) criticizes the Mahāmudrā Practice System of the bKa' brgyud School in the chapter on the Perfection of Discriminative Understanding in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Thub pa'i dgongs pa rab tu gsal ba). In the second part, the life of Sa skya paṇḍita is surveyed briefly. Sa skya paṇḍita learned the teaching of the Mahāmudrā Practice System under sPyi bo lhas pa Byang chub 'od, who had learned it under gNyan [or Grub chen] Tshem bu pa (?-?), the disciple of rDo rje rnal 'byor ma, Vajrayoginī who belonged to the tradition of Brug pa bKa' brgyud. In addition,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Three Vows (sDom gsum rab dbye) and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in their contents and their style in that the former work is composed of verses while the latter one is in prose, we could suggest that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might have probably been composed between 1231 AD – 1233 AD. In the third part, the text of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could be traced to two xylograph editions and three manuscripts.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theme of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could be ascertained as having followed the arrangement of verses 61 and 62 of the 19th chapter of the Mahāyānasūtrālaṃkāra while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Elucidation of the Sage's Intention and the contents of its chapter on the Perfection of Discriminative Understanding is examined by their tabulation. In the fourth part, Sa skya paṇḍita’s critique on the Great Seal could be ascertained as having based itself mainly on textual evidence and the simile and logic of Kamalaśīla. According to Sa skya paṇḍita’s critique, the prevalence of the pseudo Mahāmudrā practice system radically different from Indian doctrinal and practical system of Mahāmudrā in the 13th century Tibet could be traced to the borrowing of the Chinese Master’s view that enlightenment can be obtained only by knowing one’s original mind, in addition to the full realization of wisdom and method by enlightenment as well as the simile of “self-sufficient white remedy” (dkar po chig thub) referring to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by the mastering of only one religious practice.
目次I. 들어가는 말 399

II. 싸꺄빤디따의 생애와 저작 402

III. ThGS의 전체적인 구성과 「반야바라밀 」장 소개 405
IV. ThGS 「반야바라밀」장에 나타난 마하무드라 비판 409
1. 불교학파 내 전도된 견해에 대한 싸꺄빤디따의 세 가지 범주 409
2. 중국 화상 마하연의 설과 마하무드라에 대한 싸꺄빤디따의 비판 412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2..37.011
ヒット数69
作成日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375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