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염불이 사상체질에 따라 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 분노, 불안을 중심으로=The effect on the mind changes by the Buddhist prayer training accord to Sasang constitution.
著者 배효상 (著)=Bae, Hyo-sang (au.) ; 박성식 (著)=Park, Seong-sik (au.) ; 이필원 (著)=Lee, Pil-won (au.) ; 김병수 (著)=Kim, Byoung-soo (au.) ; 양승규 (著)=Yang, Sung-kyu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21 n.0
出版年月日2014.06
ページ115 - 14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배효상, 박성식: 동국대 한의과대학 교수
김병수, 이필원, 양승규: 동국대 한의학연구소 초빙교수
キーワード염불=The Buddhist prayer training; 사상체질=Sasang Constitution; 우울=Depression; 불안=Anxiety; 분노=Anger; BDI; STAXI; STAI
抄録사회가 복잡해지고 구조화 될수록 사람들은 정신적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경향성이 높아진다. 공황장애, 우울증, 조울증과 같은 마음에서 생기는 질병들은 최근에 들어와서 개인의 질병을 넘어서 사회의 질병으로 여겨질 정도로 그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다. 명상은 이렇게 발생되는 마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스리는 방법이며, 그 중에서도 염불 수행을 통한 명상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수행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불 수행이 우울, 분노, 불안과 같은 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체질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천태종 산하단체 수련회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수련회 시작 전에 사상체질분류검사를 통하여 체질진단을 하였고, 우울 척도(BDI), 분노 척도(STAXI), 불안 척도(STAI) 설문지를 수련회 전 후에 작성케 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우울, 불안, 분노가 모두 염불 수행 후에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염불 수행은 우울과 불안의 경향성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불안 요인에 있어서는 소음인이 타 체질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되었고, 분노를 통제하려는 경향성에서 소음인이 더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태음인의 경우에는 상태불안 요인을 제외하고 염불 수행 전 후에 차이가 나지 않아 염불 수행후의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When the society becomes more structured and complicated, people tend to complain of psychology pain. Panic disorder, depression, bipolar disorder such as mind disease resulting from psychology pain have recently come to be seen as beyond the community, so that the spread of the disease is very fast. Meditation is a method of governing effectively the problem of mind that you are experiencing and the Buddhist prayer training is a useful method to busy modern peopl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effect of the Buddhist prayer training to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And the tendency of the effect depending on Sasang Constitution. Before the training session begins, people who took a part in the training session of the Tendai sect, was diagnosed with the Sasang constitution by Sasang constitutional questionnaire. In addition, we researched the effect of mind change by the Depression scale (BDI), Anger scale (STAXI) and the Anxiety Scale (STAI) questionnaire.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at Depression, Anxiety, Anger scale has decreased in Buddhist prayer training. In addition, the Buddhist prayer training has reduced more effectively the tendency of anxiety and depressive. In the anxiety factor, We found that Soeumin tends to reduce more effectively than other constitution and trying to control the anger has increased in particul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aeumein, except the factors of state anxiety, the effect of the Buddhist prayer training does not showed.
目次I. 서론 117
II.연구방법및대상 120
1. 연구대상 120
2. 연구방법 121
3. 측정도구 122
4. 분석방법 123
III. 결과 124

1.우울,분노,불안 척도의 신뢰도 검증 124
2.사상체질 집단 간의 동질성 비교 126
3.우울,분노,불안에 대한 염불의 효과 127

4. 사상체질에 따라 염불이 우울, 분노, 불안에 미친 영향 128
5.성별에 따라 염불이 우울,분노,불안에 미친 영향 133
IV.고찰 및 결론 137
ISSN12291846 (P)
ヒット数134
作成日2023.04.17
更新日期2023.04.1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897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