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관세음보살 사상에 관한 연구=Research on ideology of Avalokitesvara
著者 한태식 (著)=Han, Tae-shik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17 n.0 관음사상과 신앙의 재조명
出版年月日2012.06
ページ9 - 64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キーワード觀世音菩薩=Gwanseumbosal(Avalokiteshvara); 觀自在菩薩=Gwanjajaebosal; 觀無量壽經=Gwanmuryangsugyeong=The Sutra on Contemplation of Amitayus; 妙法蓮華經=Myobeokyeonhwagyeong=The Saddharmapunddarka Sutra; 華嚴經=Hwaeomggyeong=Avatamsaka Sutra; 正法明如來=jeongbeopmyeongyeorae=the name of Avalokiteshvara who has already become a Buddha in her previous life; 觀世音菩薩普門品=Bomunpum of Gwanseumbosal=Avalokiteshvara; 협시불=Hyeopsibul=Attendent Buddha or Bodhisattvas on both sides of the main Buddha; 좌보처=Jwabocheo; 化佛=Hwabul=An incarnate or metamorphosed Buddha; 아미타불=Amitabul=Amitabha Buddha; 대세지보살=Daesejibosal=Mahasthamaprapta, or the Bodhisattva of Great Power of Wisdom
抄録관세음보살사상은 대승불교의 本願思想이 중심이 되어 발전되었다. 중생구제의 큰 원력을 세우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한 대자비심의 화현이 바로 관세음보살이다. 모든 중생의 어머니가 되고, 귀의처가 되어 사바세계의 현세적인 고통을 해결해 주는 대승보살 사상이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초기 대승불교의 흥기와 함께 기원전 1세기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칭은 범어로 Avalokiteśvara이고 우리발음으로는 아바로키데-스바라 라고 할 수 있다. 한자로는 주로 구역에서는 觀世音菩薩이라고 하고, 신역에서는 觀自在菩薩이라고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관세음보살이라고 할 경우는 구원적인 의미가 강조되고, 관자재보살이라고 할 경우는 지혜의 완성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관련 경전으로는 반야계통의 『般若心經』과 정토계의 『觀無量壽經』, 법화계의 『妙法蓮華經』, 화엄계의 60권본 『華嚴經』, 밀교계 등 다양하다. 법신보살로서의 관자재보살은 이미 성불한 여래의 경지로서 보아 관세음여래라고도 한다. 지혜을 완성했기 때문에 자유자재하다고 하여 觀自在라고 한다. 그리고 미래에 성불하면 正法明如來라고 하는 수기를 받았다고 한다. 법신보살사상은 극락정토의 아미타불의 협시불로서의 역할을 말한다. 주로 『觀無量壽經』을 중심으로 설해지면서 관불삼와 같이 관세음보살을 관하는 觀音觀을 중시하고 있으며, 그 공덕에 대해서도 설하고 있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의 天冠에 있는 化佛이 아미타불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극락왕생자에게 내영의 보살로서의 역할과 인도자로서의 다양한 활동을 밝혔다. 화신보살로서 관세음보살의 상주처인 보타락가사상에 관해서 경전적으로 규명하였고, 『妙法蓮華經』 「普門品」을 중심으로 자비의 실천자로서 구원의 손길을 펴고 있다. 이 경전이 중심이 되어 관세음보살신앙이 널리 확산 되었으며, 현세 구원자로서 그 역할을 크게 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가 관세음보살의 대자대비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종교적인 역할과 사회적인 활동을 전개한다면, 참으로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Ideology of Avalokitesvara became the center of original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and has been developed. Avalokitesvara is a chord of great mercy in order to establish great original power of saving mankind and practice mercy. She becomes mother of every mankind and returning point, which solves pain of this world in the world of suffering, an ideology of Mahayana Bodhisattva. There are various academic hypothesis about its origin but it is estimated that it is originated from BC 1st century together with the rise of early Mahayana Buddhism. Its title in Sanskrit is Avalokiteśvara and in Korean pronounce, it is called Avalokite-svara. In Chinese, it is called Gwanseumbosal(Avalokiteshvara) in the old translation, and Gwanjajaebosal in the new translation but it is subject to change. There are various related Buddhist scriptures such as 『Banyasimgyung』(The Heart Sutra, a shortened term of the Maha Prajna Paramita Heart Sutra) of Banya(Prajna) system, 『Gwanmuryangsugyung』(The Amitayurdhyana Sutra) of Jeongto(The Pure Land) system, 『Myobeokyeonhwagyeong』(The Saddharmapunddarka Sutra) of Beophwa system and 60 books of Hwaeomgyeong(Avatamsaka Sutra) in Hwaeum system. Gwanjajaebosal as Beopsinbosal is also called Gwanseumyeorae because of its stage of entering Buddha. Because it mastered wisdom, it is free so it is called Gwanmjajae. Also if it enters Buddha in the future, it is regarded that it received memoir called Jeongbeopmyeongyeorae. Beopsinbosal(Dharmakaya Bodhisattva) ideology refers to the role of Hyeopsibul(Attendent Buddha or Bodhisattvas on both sides of the main Buddha) of Amitabha in the Pure Land. As it is explained mainly of 『Gwanmuryangsugyeong』(The Sutra on Contemplation of Amitayus), it importantly regards Gwaneumgwan which is contemplation of Avalokitesvara as Gwanbulsamme(Gwanbulsammadhi) and it also explains about its practice of good deeds. Also it investigated that Hwabul(An incarnate, or metamorphosed Buddha) in Cheongwan of Avalokitesvara is Amitabha. Furthermore, it lighted up various activities such as a role of Bodhisattva and guide in the coming down of Amitabha to welcome the spirit of his believer to the people who comes to the Pure Land. As Hwasinbosal(Nirmanakaya Bodhisattva), it investigated about Botarakga ideology, Sangjucheo of Avalokitesvara while expanding its salvation hand as a practitioner of mercy with 「Bomunpum」 of 『Myobeopyeonhwagyeong』. This scripture became the center and Avalokitesvara Guan Yin belief was broadly expanded and plays its role as a savior of this world. Today's Korean Buddhism set ideology of great mercy of Avalokitesvara Guan Yun as its center and expands its religious role and social activities, it will be the most ideal feature.
目次I. 서론 12
II.기원과 명칭 및 경전 12
III. 반야사상의 법신보살 24
IV. 정토사상의 보신보살 32
V. 자비사상의 화신보살 47
VI. 결론 56
ISSN12291846 (P)
ヒット数85
作成日2023.04.25
更新日期2023.04.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952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