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慈恩大師基の 佛身論=The Buddha-Body Theory of Ji(基)
著者 林香奈 (著)=하야시 카나 (au.)
掲載誌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巻号v.17 n.0 관음사상과 신앙의 재조명
出版年月日2012.0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サイト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日文=Japanese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 연구교수.
キーワード基(窺基)=Ji基(Kuiji窺基); 불신론=the Buddha-Body theory; 四身說=the four fold of insight; 四智; 『佛地經論』=; 『成唯識論』=the Cheng weishi lun; 『阿毘達磨雑集論述記』(『対法抄』); the “Chinese mind only theory”; the Dacheng apidamo zaji lun shuji
抄録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말할 필요도 없이 부처가 되는 것이지만 그러한 부처의 신체에 대하여, 더 나아가 「불타는 무엇인가」라는 불교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 바로 불신론이다. 이러한 불신의 종류에 대하여 자은대사 基(窺基 532-582년)를 종조로 하는 중국 법상종에서는 清浄法界계인 自性身, 부처끼리만 인식할 수 있는 自受用身, 十地의 보살을 교화하기 위한 他受用身, 地前의 보살이나 자승 범부를 교화하기 위한 變化身으로 구분하는 四身説을 주장한다. 사쿠마 히데노리(佐久間秀範)는 自受用身과 他受用身을 명확히 나눈 것이 현장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基 또한 현장이 번역한 『佛地經論』이나 『成唯識論』에 기초하여 동일한 불신론을 전개한다. 다만 基가 현장으로부터 계승한 불신설을 어떻게 정리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껏 고찰된 바가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 이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다. 법상유식에서는 우리들 본래의 상(모습)이 識뿐이라고 여기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불타 역시 識이 변해서 획득한 智를 본체로 한다. 그러나 4종류의 불신과 진여법성, 大圓鏡智, 平等性智, 妙観察智, 成所作智라고 하는 5법이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대해서는 인도에도 여러 설이 있으며, 현장도 처음에는 그들 간의 대응 관계를 충분히 정리하지 않았음을 『佛地經論』의 기술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또 『成唯識論』에는 법성을 自性身의 본체라고 하고 그 이외의 四智를 自受用身의 본체로 하는 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것은 현장이 고안한 설이라고 생각되지만 그 이외의 여러 설도 명확히 부정되지는 않고 있다.  이에 대하여 基는 『阿毘達磨雑集論述記』 (『対法抄』)안에서 현장 설을 중심으로 하여 四身과 5법의 관계를 설명하고 다른 설에 대한 정오 판단도 내리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唯識三十頌』에 대한 복수의 주석서를 『成唯識論』 하나로 정리하고 “될 수 있는 한 정리된 유식설을 세상에 널리 퍼뜨리고 싶다.”고 주장했다고 하는 基의 에피소드와 겹치는 측면이 있다. 또 『対法抄』에서는 불타의 大圓鏡智이 일체 중생에 대응하는 불신이나 불토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3智에 떠오르는 그들의 영상을 중생이 불타의 힘을 빌어 인식 하는 구조도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상을 통하여 법상유식에서 佛智의 무한한 활동이 어떻게 설명되는지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The Buddha-body theory is that discuss about the Buddha’s body, moreover about the root theme of the Buddhism, "what is Buddha?”. According to a kind of the Buddha-body, the “Chinese mind only theory” (中国法相宗) that was founded by Ji(基: 632-682) insist on the four kinds of bodies – the body of the ultimate nature of all things (自性身), the body for Buddha himself to appreciate enjoy of dharma (自受用身), the body for showing to great Bodhisattvas in ten stages(他受用身), the body for showing to Bodhisattvas under ten stages and Hinayana peoples and ordinary peoples(變化身). Sakuma Hidenori was pointed out that it was Xuanzang that clearly divided the body for Buddha himself(自受用身) and the one for great Bodhisattvas(他受用身). Ji is one of the Xuanzang’s disciples and uses the same theory as his teacher, but there are also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descriptions of the Fodi jing lun(佛地經論) and the Cheng weishi lun(成唯識論) that Xuanzang translated and the interpretations in Ji’s works. For example in “Indian mind only theory”(Yogacara) it is assumed that substances of four Buddha-bodies are the ultimate nature of all things (真如) and the four fold of insight(四智) – the insight like large round mirror(大圓鏡智), the insight which recognized that my and others' essences are equal(平等性智), the insight to do excellent observation(妙観察智), the insight to cause various events(成所作智). There are various theories in the relation with the four Buddha-bodies and the ultimate nature of all things and the four fold of insight, Xuanzang thought that the body of the ultimate nature of all things dealt with the ultimate nature of all things only, and the substances of the body for Buddha himself are the four fold of insight. However he is not denying other theori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for Buddha himself and the four fold of insight is not clearly said in the Fodi jing lun and the Cheng weishi lun that he translated. On the other hand, Ji judges whether some theories are right or wrong in his writing the Dacheng apidamo zaji lun shuji(大乗阿毘達磨雑集論述記). Moreover he clearl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for Buddha himself and the four fold of insight. When we read his writing we are able to als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Buddha uses his insights to save all peopl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one example of showing that Ji arranged Xuanzang's theory, and constructed the Chinese mind only theory’s system.
目次I. はじめに 390
II. 玄奘の佛身論 393
1.佛地經論および成唯識論における四身の定義 393
2.佛地經論にみる佛身の軆 396
3.成唯識論にみる佛身の軆 400
III. 基の対法抄に見る佛身の軆と各佛身の化現の仕組み 403
1.自性身と自受用身 403

2.他受用身 405

3.變化身 412
IV. 結論 414
ISSN12291846 (P)
ヒット数51
作成日2023.04.26
更新日期2023.04.2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6966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