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동아시아 ‘종파불교’ 프레임 再考 - 남북조불교 연구 방법론과 관련하여=“Sectarian” Buddhism in the East Asia: Revisited
著者 이상민 (著)=Lee, Sang-min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56 n.0 근대 불교문화의 다양성
出版年月日2023.04
ページ175 - 203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학교
キーワード부파불교; 종파불교; 통불교; Japanese Buddhism=일본불교; 교넨=凝然= Kyōnen; East Asian Buddhism; Historical Method; Sectarian Buddhism
抄録본고는 남북조 불교를 연구의 방법론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부파불교’와 ‘종파불교’라는 불교 연구의 통상적인 프레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 단일교단이 여러 부파로 분화된 원인에는 크게 두 가지 전승이 전해진다. 하나는 아라한의 해석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율장의 해석 문제였다. 인도 부파불교의 양상을 살펴보면 그 집단의 배타성은 사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계율에 있는 것이었다. 심지어 사상적으로 다른 입장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승단 생활에 필요한 계율을 충실히 따르는 이상 동일한 부파의 소속으로 간주되었다. 2. 중국의 종파불교는 규정하기 힘든 개념이다. ‘동일한 사상을 지닌 배타적인 집단’이라는 지점에서 살펴보면 수당시대까지도 종파가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본래 종(宗)이란 ‘경전의 취지’라는 의미였고 집단을 나누는 의미는 상당히 후대에 와서야 부여되기 때문이다. 3. 학술적인 관점에서, ‘부파불교’와 ‘종파불교’가 공히 근대 일본 불교학계에서 도출된 개념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일본 불교는 근대적 의미의 불교학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신학이나 종교학의 교단에 대응되는 용어로 ‘종파’를 제시하였고, 이는 다시 동아시아 불교를 해석하는 주요한 프레임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일본 불교에서 기인한 이 용어는 본질적으로 동아시아 불교 전체를 형용하는 데 한계를 가지는 프레임이다. 4. 그러므로, 보다 정합적인 동아시아 불교 고찰을 위해서는 종파를 중심으로 한 종적 연구와 더불어 시대와 지역, 텍스트 중심의 횡적 연구가 요청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rames of Buddhist research,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identity and group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Sectarian" frame both in India and East Asia. The following points summarize the contents of this paper: The division of the early monolithic saṅgha (部派) into several sects is attributed to two main transmission issues: the interpretation of Arhats and the interpretation of Vinaya.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Buddhist Sects, the exclusivity of the group was not based on philosophy but on the Vinaya. Even if one held different views philosophically, they had not been driven out of their own group as long as they faithfully followed the Vinaya necessary for the monastic life. The concept of sectarian Buddhism (宗派) in China is difficult to define.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clusive group holding a distinctive philosophy,” there is much skepticism as to whether such factions existed until the Sui and Tang dynasties. Originally, Zong (宗) meant the “core teaching of the Sutras,” and the notion of dividing groups emerged much later.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t is notable that the frame of “Buddhist sects,” whether in India or China, is the concepts derived from modern Japanese Buddhist scholarship. In constructing modern Buddhist studies in Japan, the term “宗派” was propos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theology or religious studies. This term has since become a major frame for interpreting East Asian Buddhism. Moreover, the term “部派” that frames Indian Buddhism was derived from the idea of “宗派” by Japanese scholars. As these concepts are all imbued with the values of modern Japanese Buddhism, they have inherent limitations as frames for viewing Buddhism as a whole. To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Buddhism, along with the vertical research centered around sects, the horizontal research encompassing the entire period and region is required.
目次Ⅰ. 서론 178

Ⅱ. 인도 부파불교의 정체성 182

Ⅲ. 동아시아의 종(宗), 그리고 종파(宗派) 불교 186

Ⅳ. ‘사상=교단’의 프레임과 근대 일본불교 191

Ⅴ. 결론: 횡적 프레임의 제안 196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10.21718/EABC.2023.56.07
ヒット数30
作成日2023.05.29
更新日期2023.05.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176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