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전등사서의 역사와 『직지』 편찬의 의의 고찰=The compilation and peculiarity of Zikji(直指) by BaekUn-KyungHan
著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41 n.0
出版年月日2020.03
ページ195 - 21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キーワード정법안장; 전등사서; 조사선; the records of transmit the light; 석옥청공; 백운경한= BaekUn-KyungHan; 불조직지심체요절= Fojuzhizhixintiyaojie; 직지= Zhizi; Bodhidharma; the patriarch seon,
抄録조사선의 연원은 보리달마의 서래로부터 기인한다. 그것은 조사선이 달마의 법손들에 의해 형성되고 전승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에 이후에 조사선에서 출현한 모든 전등사서는 달마를 기점으로 하여 그 정통 여부를 기록한 것이었다. 선종에서 이러한 전등사서는 8세기 초부터 등장하였는데, 8세기 후반에 『조계대사전』 및 『단경』 등에서 서천 28조 동토 6조의 33조사에 대한 주장이 확립되었다. 이후 『보림전』, 『조당집』, 『경덕전등록』 등이 그것을 계승하면서 전등사서는 자파의 종지를 드러내고 보급하며 세력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요시되었다. 고려 후기에 백운경한은 원대에서 전래된 『불조직지심체요절』에 보완을 가하여 『직지』를 편찬하였다. 때문에 『직지』는 순수창작이 아니라 기존의 전등사서에 경한 자신의 견해가 가미되어 형성된 것이다. 경한은 형식의 측면에서 보면 종파나 법맥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기존의 전등사서로부터 벗어나 비교적 자유롭게 인물을 보입하였고, 필요한 경우에는 재차 내지 삼차에 걸쳐 법어를 수록하였다. 또한 경한은 한정된 부분에 대하여 몸소 주석을 붙였다. 곧 『불조직지심체요절』의 대목에 대하여 14곳에 해당하는 著語를 가하였다. 이 점은 역대의 公案集類에서 볼 수 있는 성격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경한은 『직지』의 본래적인 기능인 전등사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선어록에 대한 안목을 심화시켜주려는 의도까지 담아두고 있음이 엿보인다.

The origin of the patriarch seon(祖師禪) is caused from the west by Bodhidharma. That is because the patriarch seon has been formed and passed down by the Bodhidharma's descendants. All the records of transmit the light that appeared in the patriarch seon were recorded from the beginning of Bodhidharma. These the records of transmit the light appeared in Seon-sects from the early 8th century. In the late 8th century, 33patriarchs, including the 28patriarchs of India and 6patriarchs of China, were established in the Caoxidashichuan(曹溪大師傳) and the Tanjing(壇經). Since then, the records of transmit the light have become a means to show off the power by revealing and disseminating the end of each sects, as Baolinchuan(寶林傳), Zutangji(祖堂集) and Jingdechuandenglu(景德傳燈錄 succeeded it. In the late Koryo period, BaekUn-KyungHan added supplements to the Fojuzhizhixintiyaojie(佛祖直指心體要節) which was introduced in Yuan(元). Therefore, Zikji(直指) is not a pure creation but a form of his own view that is respected to the records of transmit. In terms of form, Kyunghan was free from the records of transmit composed of sects and legal veins, and supplemented the characters relatively freely. And if necessary, the preachings were recorded again or again. The lightness also gives annotations to the limited part. For example, 14comments were applied to the passage of the Fojuzhizhixintiyaojie. This was to be used as a character seen in the past to the records of transmit. Here, we can see that Kyunghan had the intention to deepen his perspective on the book of seon analects as well as the meaning of the records of transmit,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Zikji.
目次Ⅰ. 서언 196

Ⅱ. 선종과 전등의식 197

Ⅲ. 국내 찬술의 전등사서 204

Ⅳ. 『직지』의 편찬과 그 특징 207

Ⅴ. 결어 213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10.21718/EABC.2020.41.08
ヒット数18
作成日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76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