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중국불교에서 바라본 공과 중도 - 삼론종과 선종을 중심으로=A Study on Emptiness and Middle Way in Chinese Buddhism: Focused on Sanlun Zong and Chan Zong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40 n.0
出版年月日2019.12
ページ245 - 273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 철학과 강사
キーワード부정의 정신; 백비=one hundred negations=百非; 중도의 구체화; 일상의 언어=ordinary language; 무문관=Wumen guan=Gateless Barrier; 이제합명중도=to explain middle way through twofold truth=二諦合明中道; 4중이제=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to concretize middle way
抄録이 논문에서는 중국불교 가운데 삼론종과 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관점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삼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이해에 대해 알아본다. 삼론종에서는 ‘4중이제’를 말하는데, 이는 속제와 진제를 네 번 전개하는 것이다. 이처럼 속제와 진제를 네 번 전개하는 것은 삼론종의 특징이고, 이는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힌 것이다. 또 삼론종에서는 ‘이제합명중도’를 주장한다. 이는 속제와 진제를 각각 중도의 의미로 파악하고 결합하는 것인데, 이것도 삼론종의 특징에 속한다. 그리고 삼론종에서는 이것에 3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첫째 잘못된 집착을 깨뜨리는 것이고, 둘째 그릇된 이해를 바로잡고 중도의 올바른 이해를 세우는 것이며, 셋째 현상계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주장은 중도의 의미를 3가지로 자세히 구분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3장에서는 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관점을 검토한다. 선종에서는 공과 중도에 대해 일상의 언어로 설명한다. 『무문관』 제14칙‘남전화상이 고양이를 베다’ 등에서 공의 정신이 일상의 이야기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이것이 선종에서 공사상을 표현하는 특징이다. 또 선종에서 중도를 표현할 때도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예로 『무문관』43칙 ‘수산의 죽비’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는 ‘중도의 구체화’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선종에서 중도를 말할 때에 일상의 언어를 통한 ‘중도의 구체화’만을 말한 것은 아니고, 인도의 중도사상을 그대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선종의 중도이해 특징은 ‘중도의 구체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선종에서는 ‘백비’를 통해서 끊임없는 부정의 정신을 보여주는데, 이는 앞에 소개한 삼론종의 ‘4중이제’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emptiness(sunyata) and middle way(madhyama pratipad) in Sanlun zong(three treatise school) and Chan zong(meditation school). In chapter two, I study emptiness and middle way in Sanlun zong. 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which unfold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and absolute truth(眞諦) four times, is the characteristic of Sanlun zong. And to explain middle way through twofold truth (二諦合明中道)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Sanlun zong, which divide meaning of middle way into three kinds, that is, first to destroy a false attachment, second to correct a false understanding and to establish a right understanding, third to explain existing way of the phenomenal world. In chapter three, I study emptiness and middle way in Chan zong focusing Wumen guan(Gateless Barrier). To explain emptiness in ordinary language i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 Also to explain middle way in ordinary language i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 which is to concretize middle way. Though Chan zong explains Indian buddhism's middle way in some case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s middle way is to concretize middle way. And Chan zong expresses the spirit of negation through one hundred negations(百非), which shares the context with 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of Sanlun zong.
目次Ⅰ. 서론 246

Ⅱ. 삼론종의 공과 중도 이해 249

Ⅲ. 선종의 공과 중도 이해 256

Ⅳ. 결론 267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40.09
ヒット数23
作成日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78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