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지장경』의 중국 유행시기와 인도문화권 찬술의 타당성 검토=A Review on Validities of Chinese Vogue Days of 『Kṣitigarbha-sutra(地藏經)』 and its Documentation in Indian Culture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7 n.0
出版年月日2019.03
ページ165 - 18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キーワード十輪經=10-wheel sūtra; <造像記>=; 「還魂記」=「Hwanhongi」; 十王經=10-king sūtra; 地藏信仰; 地藏菩薩本願經; Kṣitigarbha-praṇidhāna-sūtra; Kṣitigarbha faith
抄録동아시아의 地藏信仰 유행과 관련해서 『地藏菩薩本願經』은 매우 중요하고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지장경』을 통해서, 지장보살과 사후세계와의 연결구조가 확립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장경』은 당나라 초에 實叉難陀에 의해서 번역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당나라의 불교경전 목록에서는 전혀 살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차난타가 번역한 것에 대한 의심과 당나라 말에서 五代시기에 중국에서 찬술되었다는 견해가 힘을 얻게 되었다. 본고는 당나라 말에 藏川에 의해서 『十王經』이 찬술된다는 점. 또 敦煌文書인 「還魂記」에 778년에는 이미 지장보살과 사후세계가 연결되는 모습이 확인된다는 점을 통해서, 이와 같은 주장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즉 지장과 사후세계의 연결은 이들 문서보다 빠른 시기에 완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지장경』의 존재를 변증한다는 관점인 것이다. 실제로 『삼국유사』 「臺山五萬眞身」에서 확인되는 730년경의 『지장경』에 대한 기록. 그리고 당나라 중기부터 地藏菩薩像을 조각한 뒤에 관련 내용을 기록한 <造像記>에는 사후의 冥福에 대한 측면이 급증한다. 이는 『지장경』이 당나라 초기에 유행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해준다. 이상과 같은 내용들을 결합해보면, 『지장경』은 전승과 같이 실차난타의 번역일 개연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또 『地藏菩薩像靈驗記』에는 『지장경』에 대한 인도 원본에 대한 내용이 있고, 『지장경』의 내용 역시 어머니에 대한 효를 강조하는 인도문화적인 요소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이는 『지장경』이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인도적인 경전의 번역이라는 점을 추론해 볼 수 있도록 해준다.

『Kṣitigarbha-praṇidhāna-sutra(地藏菩薩本願經)』 has a very important and unique position with regard to the vogue of Kṣitigarbha faith in East Asia. It is because the sutra is establish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By the way, though the 『Kṣitigarbha-sutra』 was translated by Śikṣānanda in early days of Tang Dynasty, it is not found in the Buddhist scripture list of Tang at all. Because of this, the suspicion about the translation by Śikṣānanda as well as the view that it was written in China during the late days of Tang or 5 Dynasties Age was strengthened. In this paper, such argument is questioned on the ground that the 『10-king sutra(十王經)』 was written by Jangcheon(藏川) in the end of Tang Dynasty a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was already confirmed in 778 from 「Hwanhongi(還魂記)」 among Tunhuang documents.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must have been established before these documents, and this is the evidence pointing out the existence of 『Kṣitigarbha-sutra』. In fact, there are many other evidences such as the record on 『Kṣitigarbha-sutra』 in 「Daesan Oman Jinsin(臺山五萬眞身)」 of 『Samguk Yusa』 written in around 730 and < Josanggi(造像記) > where the related items had been recorded after sculpturing the imag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since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and the prayer for happy afterlives increased a lot in it. This proves that 『Kṣitigarbha-sutra』 was already popular in the early Tang Dynasty.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bove evidenc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Kṣitigarbha-sutra』 was translated by Śikṣānanda as in the traditi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mments about the Indian originals of 『Kṣitigarbha-sutra』 in the 『Spiritual Experience on Statue of Kṣitigarbha-bodhisattva(地藏菩薩像靈驗記)』, and 『Kṣitigarbhasutra』 itself strongly includes the Indian cultural elements which emphasize the filial piety to mother. These also support that 『Kṣitigarbha-sutra』 was not written in China but translated from the Indian original sutra.
目次Ⅰ. 서론 166

Ⅱ. 『지장경』의 중국 유행시기 모색 168

Ⅲ. 『지장경』의 모계양상과 인도문화 176

Ⅳ. 결론 183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37.07
ヒット数62
作成日2023.06.25
更新日期2023.06.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83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