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용운과 백용성의 대처(帶妻) 인식에 관한 시대 배경과 관점 차이=The Background and Perspectiv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iest's Marriage between Han Yongwun and Baek Yongseong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6 n.0
出版年月日2018.12
ページ355 - 38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조교수
キーワード일본 유학승=monks studied in Japan; 대처승=married monk; 食肉=meat eating; 寺法改正=temple law revision; 조선불교유신론=Joseon Buddhist Renovation
抄録1910년 3월과 9월 한용운은 일제에 조선 승려들의 대처를 용인해달라는 두 차례의 건의문을 제출한다. 또 같은 해 12월에 탈고되는 『조선불교유신론』에는 승려의 결혼이 용인되어야 한다는 항목이 장문으로 배치된다. 이는 1910년 한용운이 조선불교의 대처 주장을 3차례나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16년 후인 1926년 5월과 9월에 백용성은 일제에 조선불교의 대처가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는 2건의 건의문 보낸다. 즉 한용운과는 정반대의 입장이 한용운처럼 같은 해에 2차례나 표명되고 있는 것이다. 한용운과 백용성은 모두 조선불교의 개혁을 강도 높게 주창한 인물이다. 그런데 두 사람은 승려의 결혼과 관련해서는 전혀 상반된 관점에 처해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관점을 대비시키거나, 현대적인 한국불교의 입장에서 한용운이 오점을 남겼다는 연구 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고는 두 사람의 주장 사이에는 16년의 시차가 존재한다는 점. 또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시대 배경에 따른 관점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사람의 인식 차이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확인되는 것은 한용운이 조선불교가 내부적인 모순구조를 보이는 시점에 승려의 결혼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백용성은 대처승이 본사 주지가 되는 일제의 사법개정에 대한 반대와 연관되어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두 사람은 서로 다른 배경 속에서 각기 다른 필연성에 입각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현대의 관점에서 과거를 판단하는 것은 학문이 범할 수 있는 흔한 오류 중하나이다. 이런 점에서 다름에 기초한 인식과 판단은 보다 높은 연구의의를 확보한다.

In March and September of 1910, Han Yongwun made two petitions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o allow Joseon monks' marriage. In addition, in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t Renovation" published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he wrote a long column that the monk's marriage should be tolerated. This means that Han Yongwun made three claims for monk's marriage of Joseon Buddhism in 1910. In contrast, in May and September of 1926 or 16 years later, Baek Yongseong sent two petitions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ot to allow Joseon monks' marriage, In other words, he expressed the opposite position to Han Yongwun twice in the year as Han Yongwun had done. Han Yongwun and Baek Yongseong both strongly advocated the reform of Joseon Buddhism. However, the two had completely opposite views on the monk's marriage.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contrast two people's views or insisting that Han Yongwun left a flaw in modern Korean Buddhism. However, this paper points that there was the 16 year time gap between the two's claims. In that there should necessarily be a difference of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temporal background,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two people. Wit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while Han Yongwun suggested the monk's marriage as a solution to the internal contradictions of Joseon Buddhism, Baek Yongseong suggested it to oppose to the temple law revi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the married monk could be the residential priest in the main temple. In other words, they were presenting the solutions based on the different necessities in different backgrounds.
目次Ⅰ. 서론 - 대처와 식육의 문제 356

Ⅱ. 일제강점기 대처문제의 대두 359

Ⅲ. 한용운과 백용성의 대처 인식 차이 367

Ⅳ. 결론 - 시대변화에 대한 이해 차이 375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8.36.13
ヒット数23
作成日2023.06.25
更新日期2023.06.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387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