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원종문류집해(圓宗文類集解)』의 기초 연구=Basic research on Wonjongmullyujipae(『圓宗文類集解』) |
|
|
|
著者 |
박보람 (著)=Park, Bo-ram (au.)
|
掲載誌 |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巻号 | v.35 n.0 |
出版年月日 | 2018.09 |
ページ | 249 - 273 |
出版者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出版サイト |
http://www.easternasia.kr/
|
出版地 | Busan, Korea [釜山,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초빙교수
|
キーワード | 원종문류집해=圓宗文類集解=Wonjongmullyujipae; 원종문류= Wonjongmullyu=圓宗文類; 확심=廓心= Hwaksim; 의천=Uicheon=義天; 원효=Wonhyo=元曉 |
抄録 | 의천과 확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의천계 화엄은 현존하는 관련 기록이 워낙 적어서 그 실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의천계 화엄의 대표적 자료인 『원종문류집해』에 대한 기존 연구는 하나의 추정을 제기한 후 그 추정에 근거하여 또다른 추정을 쌓아올리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면 『집해』의 찬자인 확심이 1173년에 태백산 각화사를 떠나고 『집해』의 찬자명 앞에 ‘태백산’이라는 지명이 붙어 있으므로 1173년 이전에 『집해』를 찬술했다고 추정하지만 확심의 생몰년을 비롯한 기본적인 생애가 불분명하고 『집해』의 찬자명을 누가 썼는지 불분명하므로 이러한 추정은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 다시 다른 추정의 근거가 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또 『집해』에 나오는 ‘十地宗要集解’라는 구절을 저술명으로 이해하고 이를 원효의 『十地宗要』라는 저술에 대한 주석서라고 추정하고 이와 동일하게 『집해』의 ‘起信宗要’ 구절을 원효의 『起信宗要』로 추정하지만 각 구절의 맥락과 현존하는 목록 등을 살펴보면 이는 저술명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서술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집해』가 원효의 『십지종요』와 『기신종요』, 그리고 『화쟁론』을 인용하고 원효의 설을 거론하므로 이를 근거로 원효를 중시했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十地宗要’와 ‘起信宗要’가 저술명이 아니고 나아가 원효의 저술이 아니라면 『집해』가 원효를 중시했다고 보기에는 부족한 감이 있다. 그리고 『집해』가 원효를 중시했으므로 원효처럼 화쟁의 입장에서 의천의 종합불교 전통을 본받아 법장과 징관을 회통, 일체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추정한다. 물론 그렇게 보이는 부분이 『집해』에 존재하지만 또 다른 부분에는 법장의 설을 부정하고 징관의 설을 채택하는 부분도 보여서 꼭 그렇게 해석할 필요는 없음을 논하였다. 『집해』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확심의 교학 수준이 상당히 고도화되어 있으며 『기신론』의 중시 등에서 의상계 화엄과 다른 전통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의천과 확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의천계 화엄이 어떠한 교학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의상계 화엄과 어떤 점에서 대비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다. 물론 자료가 적은 탓도 있지만 그나마 있는 자료인 『집해』에 대한 검토도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고려 시대 화엄의 실상에 조금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It is true that we have difficulties in grasping the real aspect of the so-called Uicheon-lineage Hwaeom school(義天系華嚴) which consists of Uicheon(義天) and Hwaksim(廓心) and so on due to few related records. It seems to result in the currency that researches on Wonjongmullyujipae(『圓宗文類集解』, WJ hereafter), which is a representative text of this school, is often based on assumption. Existing research on WJ tends to build up another assumption based on an assumption after it is raised. For example, many kinds of research assume that Hwaksim wrote WJ before 1173 on the basis that he left Mt. Taebaek in 1173 and the author name of WJ has the phrase ‘Mt. Taebaek(大白山)’ but we don’t know about the basic life of Hwaksim including his longevity and who wrote the author name of WJ. Thus this assumption seems to be premature. One more example. it is often regarded that WJ has the intention to unify Fazang (法藏) and Chengguan(澄觀) by taking advantage of the integrated Buddhism of Uicheon in the aspect of integration like Wonhyo. However, I have shown tha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by introducing the phrase in WJ where WJ rejected Fazang’s theory and accepted Chengguan’s. When we examine the contents of WJ, it seems that the level of doctrinal discussion of WJ is considerably high, and it sticks to other tradition than so-called Uisang-lineage Hwaeom school. Unfortunately, we have not yet done enough research on WJ. If we continue to study this, we will be able to get closer to the reality of Goryeo Hwaeom. |
目次 | 1. 서론 250
2. 확심의 저술 251
3. 『원종문류』와 『집해』의 구성 및 주석 방식 258
4. 『집해』 내용의 특징 262
5. 결론 268 |
ISSN | 27140938 (P); 27140946 (E) |
DOI | 10.21718/EABC.2018.35.09 |
ヒット数 | 99 |
作成日 | 2023.06.27 |
更新日期 | 2023.06.27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