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무학자초(無學自超)의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 작성목적과 의미Ⅰ - 라옹(懶翁)의 사법(嗣法)과 중심 법맥(法脈)에 대한 검토=Creating Purpose and Meaning I of Muhag Jacho's “Buljo Jongpajido” - A Study on the Buddhist Sects focusing on the Method and the Principle of the Method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5 n.0
出版年月日2018.09
ページ357 - 385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 불교학부 교수
キーワード印可; 檜巖寺= Hoeamsa; 平山= Pyeongsan; 懶翁= Naong; 指空= Jigong; permission
抄録懶翁에게 嗣法한 스승은 指空과 平山의 두 분이다. 그런데 나옹의 제자인 자초는 「불조종파지도」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지공을 제외한 평산 중심의 구조만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자초의 「불조종파지도」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나옹이 지공과 평산 중 누구의 가르침을 주로 잇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나옹이 원나라에 유학하는 목적을 확인하고, 이후 법맥을 계승하게 되는 상황에 대해 검토해본다. 이를 통해서 확인되는 것은 나옹이 지공을 목적으로 원나라 유학을 감행한다는 점. 그리고 평산보다는 지공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는 점이다. 또 나옹은 10년이라는 장기유학의 결과로 지공과 돈독한 관계를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지공은 나옹을 수제자로 인정하며, 나옹 역시 지공에 의한 영향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이는 나옹과 평산의 관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측면이다. 나옹은 1370년 지공의 靈骨이 고려로 전해져 거국적인 추모열기가 고조되는 것과 함께 크게 부각한다. 이는 나옹이 공민왕에 의해서 불교계의 동반자로 채택되면서 왕사에 임명되는 배경이 된다. 이후 나옹은 지공의 예언에 입각해서 檜巖寺를 대대적으로 중건한다. 즉 나옹은 평산이 아닌 지공과 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지공의 계승자인 것이다.

The masters under whom Naong(懶翁) had studied were Jigong(指空) and Pyeongsan(平山). By the way, Jacho, a disciple of Naong, just presented the structure centering on Pyeongsan rather than Jigong in the precess to write < Buljo Jongpajido >.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Jacho's assertion in < Buljo Jongpajido >, this paper examines whose teaching Naong was following, Jigong or Pyeongsan? For this, the purpose of Naong's studying in Yuan was first examined, and then the situation in which he succeed the legal tradition.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is that Naong dared to travel to Yuan to learn from Jigong and that he was affected by Jigong more than Pyeongsan. Also, as a result of ten years long study in China, Naong built a strong relationship with Jigong. Because of this, Jigong recognized Naong as his disciple, and Naong also recorded the influence of Jigong. This is an aspect that is not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ong and Pyeongsan. In 1370, Naong was greatly highlighted when Jigong's holy bones were conveyed to Goryeo, along with a growing national memorial fever toward Jigong. This was the background for Naong to be appointed as the royal master and the leader of Buddhism by King Gongmin. Since then, Naong rebuilt the Hoeamsa Temple greatly based on the Jigong's prophecy. In other words, Naong was not a Pyeongsan's disciple but a successor of Jigong who had been more closely related to him.
目次Ⅰ. 序論 358

Ⅱ. 나옹의 법맥과 중심법계 검토 360

Ⅲ. 나옹의 고려에서의 대두와 지공의 영향 369

Ⅳ. 結論 379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8.35.13
ヒット数35
作成日2023.06.28
更新日期2023.06.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410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