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알라야식에 대한 대현(大賢)의 이해: 원효(元曉)와 법장(法藏)과의 비교=A Comparative Study of Taehyon, Wonhyo, and Fazangs’ Views on Alayavijnana and Tathagatagarbha
著者 이수미 (著)=Lee, Su-mi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2 n.0
出版年月日2017.12
ページ101 - 12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 연구교수

キーワード元曉(617-686)=Wŏnhyo(617-686); 大賢(ca. 8세기)=Taehyŏn(ca. 8th century); 大乘起信論=the Awakening of Faith; 法藏(643-712)=Fazang(643-712); 알라야식=ālayavijñāna
抄録동아시아에서의 알라야식에 대한 이해는 菩提流支(Bodhiruci, fl.508-35)가 6세기에 『십지경론』(Dasabhumivyakhyana)을 번역하면서 이 개념을 처음 소개한 이래로 이 식과 여래장 혹은 불성과의 관계를 밝히거나 혹은 부정하는 과정을 통해 전개되어 왔다.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大乘起信論』이 주목받은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였다. 『기신론』은 알라야식과 여래장의 화합을 주요 메시지로 다루면서 중생의 근본식인 알라야식이 어떻게 깨달음의 근거로 작용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직접 논의하고 있다. 신라의 유식종조(瑜伽祖)로 알려져 있는 大賢(ca. 8세기)은 이러한 『기신론』의 메시지에 주목한 동아시아 논사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신론』의 알라야식과 여래장에 대한 대현의 견해를 그의 『기신론』의 주석서인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과 元曉(617-686)와 法藏(643-712)의 『기신론』 주석서들에 나타나 있는 本覺과 解性의 관계에 대한 이들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고찰하려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신론』의 여래장 개념의 해석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차별적인 사상 조류가 존재했음을 심식설과의 연계성을 통해 논증한다.

In East Asia Buddhist tradition the concept of alayavijnana was understood by either demonstrating its association to tathagatagarbha or Buddha-nature or negating it, since Bodhiruci (fl. 508-35) introduced it by translating the Dasabhumikasutra-sastra in Chinese. It was in this context that the Awakening of Faith (C.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drew East Asian Buddhist scholiasts’ attention. The central messag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at tathagatagarbha is synthesized to alayavijnana in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condition directly the given question of how alayavijnana, the fundamental consciousness of sentient beings, serves as the basis of enlightenment. Taehyon 大賢(ca. 8th century), a Silla Yogacara exegete, is one of the East Asian scholiasts who noted this message of the Awakening of Faith. This article explores Taehyon’s views on alayavijnana and tathagatagarbha of the Awakening of Faith by comparatively analysing the concepts of Original Awakening (本覺) and Nature of Realization (解性) represented in his commentary to the Awakening of Faith, the Taesung kisillon naeui yakt’amgi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and Wonhyo's 元曉 (617-686) and Fazang's 法藏 (643-712)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Based on this,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distinct doctrinal views existed on the concept of tathagatagarbha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association to consciousness system.
目次1. 들어가는 말 102

2. 알라야식의 眞의 요소: 眞識 104
3. 本覺과 解性의 관계 111

4. 本覺과 解性의 관계와 心識論 118
5. 맺음말 125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7.32.04
ヒット数58
作成日2023.07.22
更新日期2023.07.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05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