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진흥왕(眞興王)의 황룡사(皇龍寺) 조성(造成)에 관한 불교적 의미의 재검토 - 불교진흥을 통한 왕권강화를 중심으로=Review of Buddhist Significance on Foundation of Hwangnyongsa by King Jinheung - Focusing on Strengthening of King`s Sovereignty through Promotion of Buddhism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30 n.0
出版年月日2017.06
ページ217 - 242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동국대 미술학과 박사과정.
キーワード法興王=King Beobheung; 皇龍寺丈六尊像=Jangyug Jonsang in Hwangnyongsa; 아소카왕=King Aśoka; 迦葉佛=Kāśyapa Buddha; 一塔三金堂=1 Tower and 3 Golden Shrines; 新宮=New Palace; 黃龍= Hwangnyong; 興輪寺= Heungnyunsa
抄録현존하는 황룡사와 관련된 문헌기록들은, 모두 불교적인 신성함과 관련된 것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룡사와 관련된 불교적인 관점에서의 보다 면밀한 의미해석에는 미진한 측면이 존재한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진흥왕에 의한 황룡사의 건립배경과 황룡사장육존상에 대한 불교적인 의미들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진흥왕의 황룡사 창건과 관련된 내용을 모색해 보게 된다. 황룡사는 新宮을 축조하기 위해서 시작한 공사가, 황룡의 출현을 계기로 사찰로 변모하게 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황룡의 출현이 불교적인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진흥왕에 의해서 사찰건축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瑞祥해석 방식과 관련해서, 진흥왕의 불교진흥과 이를 통한 왕권강화의 측면을 도출해 볼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황룡사장육존상의 조성에서 확인되는 내용은, 가장 불교적인 왕으로 평가받는 아소카왕을 능가하는 진흥왕의 면모이다. 이는 불교를 통해서 왕권을 강화하고, 신라의 강국화를 도모하는 정복군주적인 측면이라고 하겠다. 또 장육존상의 조성과 관련해서 등장하는 것으로, 황룡사만의 독특한 구조인 一塔三金堂 형식의 가람배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기존의 설과는 달리 釋迦三尊을 중심으로 하는 法興王과 진흥왕의 等身佛이 모셔졌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이는 일탑삼금당 형식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하겠다.

All the existing documents on Hwangnyongsa Temple are just about its Buddhist divinity. Despite it, there have been some insufficient aspects in closely analyzing its significance in the respect of Buddhist viewpoint on Hwangnyongs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clarify the background of Hwangnyongsa`s foundation by King Jinheung and the Buddhist meanings of Jangyug Jonsang in Hwangnyongsa based on former studies. For this, the story on the foundation of Hwangnyongsa by King Jinheung is examined first. The work began to construct a new palace, but it was changed to the temple due to the appearance of Hwangnyong. Though the appearance of Hwangnyong was not a Buddhist event, it became the direct turning point for King Jingheung to build the temple. In relation with the interpretation method about the auspicious event, we can see King`s intention to promote the Buddhism and to strengthen the royal sovereignty. Next, in 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Jangyug Jonsang in Hwangnyongsa, we can see that King Jinheung was far greater than King Asoka who had been respected as the most Buddhist monarch. King Jinheung exercised the excellent sovereignty by strengthening his lordship through the Buddhism as well as his country Silla. And, what is always mentioned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Jangyug Jonsang is the peculiar building arrangement of Hwangnyongsa - 1 Tower and 3 Golden Shrines. Unlike former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Deungsinbuls (等身佛) of Kings Beobheung and Jinheung were enshrined along with Buddha`s 3 statues. This study is sufficiently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understanding the type of 1 Tower and 3 Golden Shrines.
目次Ⅰ. 서론 218

Ⅱ. 황룡사의 건립과 불교를 통한 왕권강화 220

Ⅲ. 황룡사 丈六尊像의 조성과 내포의미 227

Ⅳ. 결론 236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7.30.08
ヒット数30
作成日2023.07.23
更新日期2023.07.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09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