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조계종 표준본 금강경에 나타난 심법 소고=A study about `Mind` described in the Diamond Sutra, the main scripture of the Korean buddhist order Jogyejong
著者 신명희 (著)=Sin, Myung-hee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9 n.0
出版年月日2017.03
ページ405 - 42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キーワード금강경=The Diamond-sūtra; 무상=emptiness mind; 무주; 보제심; 三世心不可得=Samsesimbulgadeukhwa; 應生無所住心; ownerless; Eungmusoju Isaenggism; aspiration for Buddhahood
抄録『금강경』은 대승불교 초기 반야부 경전으로서 空 사상이 중심이다. 이 경전에서는 공의 실천으로 무상·무주·무주심 등으로 공사상을 표현하고 있다. 『금강경』이 선종의 소의경전으로서 반야행인 無住相의 心[→無住心]이 여러 측면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무주상은 경전 서두에서 제시한 `어떤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여기서 `그 마음을 다스리는 가?`의 그 마음이란 번뇌심이다. 이 경에서 는 번뇌를 여읜 무주심의 자리가 깨달음의 경지인 청정심의 경지이다. 이 무주심은 應無所住 而生其心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인간의 지각 대상인 6境에도 집착이나 관념을 두지 말고, 마음을 내라는 뜻이다. 6바라밀에 있어서도 無住相的 行이어야 한다. 또한 이런 無住心이므로 과거ㆍ현재ㆍ미래, 삼세 어떤 시점에서도 마음을 찾을 수 없으며, 파악될 수 없다. 그래서 선사들은 삼세에 마음을 두지도 말고, 마음이 일어났으되 그 일어난 근원자리를 看하라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을 염두에 두고, 『금강경』에 나타난 心을 주제로 선 사상 측면에서 살펴본다.

“The Diamond-sutra” is an early Banyabu scripture of Mahayana Buddhism which focuses its idea in “emptiness.” This scripture is a practice of emptiness and expresses the emptiness idea in doctrines such as empty mind, ownerless and ownerless mind. As a Soeui scripture of Zen sect, “The Diamond-sutra” presents emptiness mind which is Banyahaeng in many aspects. This emptiness mind is also a response to a question `what kind of mind should a person keep, how he must control the mind` which is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scripture. The emptiness mind position is in Cheongjeongsim (clean spirit) stage, which is the stage of enlightenment. Such emptiness mind can be described as Eungmusoju Isaenggisim, which means draw out mind without having an obsession or idea in six boundaries which are objects of human`s sense. One must practice a behavior of emptiness mind even in six paramita. Also because it is an emptiness mind, one cannot find its heart and cannot be understood in any stage of three worlds. Therefore, ancestors insisted not to fix mind in the three worlds, but observe the essence of the mind which it was caused.
目次I. 들어가면서 406

II. 보제심과 번뇌심 408
III. 무소주의 청정심 414
IV. 삼제탁공과 삼세심 420
V. 나가면서 425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7.29.14
ヒット数71
作成日2023.07.23
更新日期2023.07.23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11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