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동아시아 불상에서 확인되는 역수인(逆手印) 문제고찰 -인도와 동아시아의 문화권적인 관점 차이를 중심으로-=A Consideration on Inverse Hand Sign found in East-Asian Buddhist Statues -Focusing on Difference of Cultural Viewpoint in India and EastAsia-
著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5 n.0
出版年月日2016.03
ページ483 - 50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조교수
キーワード수인= Suin; 선정인= Seonjeongin; 천지인= Cheonjiin; 지권인= Jigwonin; 하품중생인= Hapumjungsaengin
抄録불상의 역수인 문제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만 확인되는, 동아시아 불상만의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역수인에 대한 검토는, 동아시아 불교에 보대 보다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동아시아 불상의 역수인 문제와 관련해서, 본고에서는 인도문화와 중국문화의 서로 다른 차이점에 주목했다. 즉 배경문화의 차이가 영향을 미쳐서 불상의 제작과 관점이 변모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인도문화권에서는 오른쪽을 중시하고 왼쪽을 경시하는 문화가 있는데, 이는 중국문화와는 정반대이다. 바로 이와 같은 측면이 경전적인 내용이 뚜렷하지 않은 불상의 수인에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역수인이다. 동아시아 불상에서 확인되는 역수인은, 크게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역수인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는 경전적인 근거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선정인(禪定印)을 통해서 살펴지는 역수인의 일반화이다. 선정인은 항마촉지인과는 정반대로 역수인이 일반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두 문화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중국적인 관점이 승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셋째는, 천지인(天地印)·지권인(智拳印)·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에서 살펴지는 수인과 역수인의 혼재양상이다. 이는 해당 수인의 이해에 있어서, 판단기준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문화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역수인을 파생하고, 또 그 비율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역수인의 문제는 비단 불상을 넘어서, 불교에 대한 중국문화적인 영향을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Yeogsuin(逆手印, inverse hand sign) of Buddhist statue is a special problem found only in east Asian areas. In this respect, the review on the Yeogsuin can give us more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East-Asian Buddhism. In relation with Yeogsuin of East-Asian Buddhist statues,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India and China. It means that the difference of background culture might have influenced on the 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and their viewpoint. In the Indian cultural zone, the right hand sid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the left rather despised. But, it is quite opposite in the Chinese culture. This kind of aspect was shown in the Buddhist statue as the Yeogsuin, for it was not clearly indicated in the scriptures. The patterns of Yeogsuin in the East-Asian Buddhist statues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Hangmachogjiin(降魔觸地印), Yeogsuin is not found at all. It is because the scriptural ground is clear. Second, the hand sign becomes generalized, as shown in Seonjeongin(禪定印). Opposite to Hangmachogjiin,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disappears in Seonjeongin. It means that the Chinese viewpoint won while two cultures were strongly colliding. Thirdly, the confused existence of Suin and Yeogsuin, as shown in Cheonjiin(天地印), Jigwonin(智 拳印) and Hapumjungsaengin(下品中生印). It means that, in the understanding of relevant hand signs, there was no clear standard for judgement. That is, the influence of different cultures brought out the Yeogsuin and determined its proportions. In this respect, the problem of Yeogsuin can give us a lot of understandings about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not only on Buddhist statues but also on the whole Buddhism.
目次I. 서론 484

II. 인도와 중국의 좌우문화 486

III. 동아시아불상의 수인변화 493
IV. 결론 503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27
作成日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44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