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현공 윤주일의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관점-천태지의의 「관세음보살보문품」해석과 관련해서=Hyeongong Yun Ju Il`s Veiwpoint of Fa Hua Jing`s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In Relation to Tian tai`s Interpretation of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
著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22 n.0
出版年月日2015.06
ページ293 - 31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고려대
キーワード관세음보살의 가피력=Avalokiteśvara(觀世音菩薩)'s power of compassion (加被力); 33가지 응신=33 kinds of nirmāṇa-kāya(應身); 응신불=nirmāṇa-kāya buddha=應身佛; Da cheng qi xin lun=大乘起信論=대승기신론; 10가지 보(普)=ten kinds of pu(普); 삼대=三大=san-da; The Awakening of Faith
抄録이 글에서는 현공 윤주일의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관점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는데, 그 내용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관세음보살의 가피력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관세음보살이 33가지 응신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3장에서는 천태지의의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해석을 살펴본다. 천태지의는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이 두 가지로 구분된다는 것에 착안해서 이것을 다시 10가지로 나누어서 자세히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천태지의는 ‘관세음(보살)보문’에서 한 글자, 한 글자 씩 나누어서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보(普)’에 관한 것인데, 천태지의는 이것을 10가지로 나누어서 보고 있고, 이는 현공에게 영향을 미친다. 4장에서 현공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관점을 알아보는데, 현공은 관세음보살을 응신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현공은 『대승기신론』의 삼대(三大)를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체대(體大)는 법신불, 상대(相大)는 보신불, 용대(用大)는 응신불에 해당한다고 현공은 주장한다. 그리고 현공은 천태지의가 제시한 10가지 보(普)를 수용해서 그 명칭은 그대로 활용하지만, 그 실제 내용에서는 천태지의와 다르다. 왜냐하면, 천태지의는 자신의 사상에 근거해서 10가지 보(普)에 대해 의미부여를 하지만, 현공은 불교의 일반적 관점 또는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에서 10가지 보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현공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읽을 수 있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Hyeongong Yun Ju Il`s veiwpoint Fa hua jing(法華經, saddharma-pundarika-sutra)`s Guan shi yin pu sa (Avalokitesvar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In 2 chapter, I introduce the contents of Fa hua jing(法華經)`s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This contents is divided by two kinds. One is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s power of compassion(加被力), the other is that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 appears by 33 kinds of nirmana-kaya(應身). In 3 chapter, I study Tian tai(天台)`s interpretation of Fa hua jing(法華經)`s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Tian tai(天台) divides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by ten kinds and analyzes it in details. Then Tian tai(天台) studies one by one in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In this point, pu(普) is important, because Tian tai(天台) divides it by ten kinds, and this influences Hyeongong. In 4 chapter, I study Hyeongong`s veiwpoint of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Hyeongong classifies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 into nirmana-kaya buddha(應身佛). Hyeongong utilizes san-da(三大) of Da cheng qi xin lun(大乘起信論, The Awakening of Faith) to formulate his opinion. Hyeongong insists that ti-da(體大) is dharma-kaya buddha(法身佛), and xiang-da(相大) is sambhoga-kaya buddha(報身佛), and yong-da(用大) is nirmana-kaya buddha(應身佛). Hyeongong accepts ten kinds of pu(普) that Tian tai(天台) presents and he utilizes its name as it is. But the contents of Hyeongong`s ten kinds of pu(普) are different from that of Tian tai(天台)`s ten kinds of pu(普), because Tian tai(天台) defines ten kinds of pu(普) on the basis of his thoughts but Hyeongong defines ten kinds of pu(普) from the general viewpoint or the contents of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In this point, we can know Hyeongong`s original viewpoint of Fa Hua Jing(法華經)`s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目次I. 서론 294
II.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소개 297
III. 천태지의의 「관세음보살보문품」의 해석 300
IV. 현공 윤주일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대한 관점 309
V. 결론 314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24
作成日2023.07.27
更新日期2023.07.2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665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