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한국(韓國) 화엄사상(華嚴思想)의 성립과 전개에 보이는 몇 가지 경향성(傾向性) -지엄(智儼)과 원효(元曉), 지엄(智儼)과 의상(義湘)의 대비를 통해서=A Few Tendency in Korean huayen Ideology
著者 석길암 (著)=Seok, Gil-am (au.)
掲載誌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巻号v.13 n.0
出版年月日2013.03
ページ3 - 2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サイト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












キーワード法藏=Fazang=법장; 義相=의상; 義湘=Uisang; 지엄=Chih Yen=智儼; Wonhyo=元曉=원효; san jie jiao=三階敎=삼계교; Di lun order`s=地論宗=지론종; Huayen thought=화엄사상; Korean huayen thought
抄録본 논문은 以前 思想의 融合과 分化라는 기본적 관점에 의거하여, 화엄사상의 성립을 印度 佛敎思想에 대한 中國의 初期 연구사에 이어지는 동아시아 불교의 2차적 반응이라는 측면과 韓國 華嚴思想 특유의 경향 성이 형성되는 과정이라는 측면의 두 가지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검 토의 과정에서 주로 대상이 된 것은 智儼, 元曉, 義湘, 法藏이라는 네명 의 華嚴家들이 사상을 융합하고 다시 분화시켜 나가는 키워드들이다. 그 결과 한국 화엄사상에 보이는 몇 가지 특징적인 경향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원효의 화엄사상은 지론종 교학의 활용에 소극적인 점, 『대승기 신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점, 그리고 신유식학에 대한 반응이 적극 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지엄과 원효의 두 스님 모두 섭론학을 적극 활용하고, 삼계교의 영향에 긍정적이었다는 것은 동일하다. 둘째, 의상은 지엄에게 직접 배웠지만, 지론종과 선종의 사상에 더욱 경도된 특징을 보여준다. 셋째, 화엄사상의 성립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엄과 원효의 차이는 신라 불교와 長安佛敎에 있어서 사상전개 단계의 차이이기도 했다고 생각된 다. 넷째, 의상계 화엄의 강렬한 禪的 경향성은, 화엄과 선의 관계에 있어 서 중국불교와는 다른 한국불교만의 독특한 양상을 낳는 계기로 작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Based on the fundamental aspect of fusion and division of former thoughts, this paper studies the following two aspects; the aspect that the foundation of huayen is the second-order reaction of East Asian Buddhism led by early research history of Indian Buddhism idea, and the aspect that it i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unique tendency of Korean huayen ideology. The main keyword of this study is fusion and division of thoughts of four huayen ideologists; Jium, Wonhyo, Uisang, Fazang. As a result, a few unique tendency in Korean huayen thought could be found as follows. First, it could be pointed out that Wonhyo`s huayen ideology was passive about using Di lun order`s(地論宗)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but actively utilized ``Dashengqixinlun(大乘起信論)``, and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neo-wei shi studies (neo-mind-whole studies, 新唯識學). On the other hand, the two bhikkhus, Jium and Wonhyo, both positively used she lun studies(攝論), and thought of the effect of san jie jiao(三階敎) as very positive. Second is that even though Uisang was one of Jium`s disciples, he showed more interest in di lun sect and the zen sect. Thirdly, the difference in Jium and Wonhyo in the process of the foundation of huayen ideology can be considered as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Shinla Buddhism and Jangan Buddhism Lastly, the strong tendency of zen in Uisang`s faction of huayen has gave an opportunity to raise an unique character in Korean buddhism, different from Chinese buddh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en and Zen.
目次I.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4
II. 思想의 融合에 있어서 智儼과 元曉의 對應 7
III. 禪宗에 대한 智儼과 義湘의 對應 13
IV. 韓國 華嚴에 있어서 禪的 양상들 18
V. 結論; 韓國 華嚴思想의 몇 가지 傾向性들 24
ISSN27140938 (P); 27140946 (E)
ヒット数39
作成日2023.07.30
更新日期2023.07.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77920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