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능가경』의 여래장설=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Laṅkāvatārasūtra
著者 김준우 (著)=Kim, Jun-woo (au.)
掲載誌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巻号v.30 n.0
出版年月日2021.10
ページ31 - 55
出版者金剛大學
出版サイト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생
キーワード알라야식= ālayavijñāna; 여래장= tathāgatagarbha; 『능가경』=Laṅkāvatārasūtra,; 윤회의 주체; 무루습기; agent of saṃsāra; anāsravavā- sanā
抄録『능가경』에서는 ‘알라야식이라고 불리는 여래장’, ‘여래장이라고 불리는 알라야식’, ‘여래장알라야식’이라는 표현으로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결합시키고 있다. 본고 에서는 이들 표현들이 등장하는 『능가경』의 「찰나품」을 중심으로 하여 『능가경』의 여래장설을 고찰한다. 먼저 ‘알라야식이라고 불리는 여래장’이라는 표현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능가경』에서 여래장은 알라야식과 동일시되고 있다고 하는 종래의 견해를 검토한다. 『능가경』에서는 여래장이 희론습기에 훈습될 때 알라야식이라고 불린다고 ‘알라야식이라고 불리는 여래장’의 의미를 설명한다. 즉 훈습된 여래장이 알라야식인 것이지 여래장 자체가 알라야식인 것은 아니다. 이로부터 『능가경』의 여래장설의 특징으로 여래장과 알라야식의 동일시를 제시하는 기존의 견해들은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한다. 이어서 『능가경』에서 여래장은 알라야식이 아니라 알라야식에 내장되어 있는 무루습기임을 논증한다. 그 근거는, 첫째, 희론습기에 훈습된 여래장은 무루습기 와 전식습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희론습기는 전식습기에 대응하고 여래장은 무루습기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둘째, 무루습기는 『능가경』에서 무위법으로 인식 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보리류지는 무루습기를 가리키는 무위법을 진여여래장으로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능가경』에서 여래장은 윤회의 주체로서의 알라야식이 갖는 모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음을 밝힌다. 유식의 체계에서 윤회의 주체로서 등장하는 알라야식은 윤회의 주체이므로 비찰나적이지만 동시에 유위법이기 때문에 찰나적이라는 점에서 모순된다. 『능가경』에서는 윤회의 주체로 ‘알라야식이라고 불리는 여래장’을 제시하는데, 이때 여래장은 윤회의 주체가 갖는 비찰나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로부터 『능가경』의 여래장 도입의도가 윤회의 주체로서의 알라야 식이 갖는 모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에 있었음이 드러난다.

Laṅkāvatārasūtra (LAS) combines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in the expression of ‘tathāgatagarbha which is called ālayavijñāna’, ‘ālayavijñāna which is called tathāgatagarbha’, ‘tathāgatagarbhālayavijñāna’.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theory of LAS based on the kṣaṇikaparivarta contained within LAS in which these expressions appear. First,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tathāgatagarbha which is called ālayavijñāna’, I examined the existing theory that tathāgatagarbha is identified with ālayavijñāna in LAS. And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the tathāgatagarbha infused by prapañcavāsanā that is called the ālayavijñāna, rather than the tathāgatagarbha itself, I deduced that LAS doesn’t identify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Next, I argued that tathāgatagarbha is anāsravavāsanā, which exists in the ālayavijñān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irst, the tathāgatagarbha that is infused by prapañcavāsanā consists of anāsravavāsanā and pravṛttivijñānavāsanā. Among them, prapañcavāsanā corresponds to pravṛttivijñānavāsanā and tathāgatagarbha corresponds to anāsravavāsanā. Second, the anāsravavāsanā is recognized as asaṃskṛta in LAS. Third, Bodhiruci translates the asaṃskṛta, which refers to anāsravavāsanā, into 真如如來藏. Finally, I argued that tathāgatagarbha is accepte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ālayavijñāna as the agent of saṃsāra in LAS. To be the agent of saṃsāra, one must not be momentary. But ālayavijñāna is momentary in the system of Vijñānavādin. In LAS, ‘tathāgatagarbha which is called ālayavijñāna’ is the agent of saṃsāra. And at the time tathāgatagarbha is used as a continuity which is essential to the agent of saṃsāra. From this, it is revealed that LAS accepted the tathāgatagarbha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of ālayavijñāna as the agent of saṃsāra.
目次I. 서론 32
II. LAS의 결합문구들 32
III. 여래장과 무루습기 39
IV. 무위의 무루습기와 본유의 무루종자 43
V. LAS의 여래장 도입 의도 45
VI. 결론 50
ISSN19752660 (P)
ヒット数76
作成日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064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