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인공지능 ‘자유의지’ 논의에 대한 선결조건-<엑스마키나(Ex Machina)>를 바라보는 불교와 과학의 시선=Prerequisites for a Discussion on the ‘Free Will’ of Artificial Intelligence: Buddhist and Science-based views of “Ex Machina”
著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 이관수 (著)=Lee, Kwan-soo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70
出版年月日2022.03
ページ109 - 13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김성옥: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부교수
이관수: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시간강사
キーワード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엑스마키나=Ex Machina; 자유의지=free will; 오온= pañcakkhandhā; 무아= anattā; 감정= emotion; 자기 인식=self-awareness
抄録이 논문은 2015년 알렉스 가랜드 감독의 영화 <엑스마키나(Ex Machina)>를 통해, 인공지능의 자유의지 문제를 바라볼 때 놓치지 말아야 할 조건들을 다룬다. 우선 자유의지가 자아에서 비롯한다고 믿는 관념에 대하여, 불교의 무아설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인된 사실과 기술적인 외형 구현이 가능한 것을 중심으로 이 영화를 바라보는 불교와 과학의 접점을 논의하였다. 불교의 무아설은 아트만과 같은 행위자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행위자 없는 행위’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유용한 허구로서의 자아’라는 개념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나’라고 하는 통합된 내적 표상이나 일반적 사고 능력은 그 유용성의 다른 표현이 될 것이다. 에이바는 인간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인간처럼 움직이는 데 전혀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에이바의 자기 모델은 사람의 자기 모델과 동일한 수준의 유용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과 다르게 구성되었다는 사실만으로 ‘마음’을 지닐 수 없다고 논증하는 것은 더이상 가능하지 않은 듯하다. 유정물과 무정물을 가르는 경계가 모호해지고, 그 층위가 보다 촘촘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양자의 인지적 구조에는 명백한 차이점이 있다.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감정표현을 판독・분석・재현할 수 있지만, 감정을 경험하고 자기를 인식하는 인공지능은 현실적・이론적으로 구현할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인공지능의 자유의지 논의에 있어서 아트만적 자아의 관념을 전제할 필요는 없지만, 감정의 경험이나 의식의 발생은 자유의지 문제를 탐구하기에 앞서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조건들인 셈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erequisites for deliberations on the free will probl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reference to Alex Garland’s 2015 film “Ex Machina.” The implications of Buddhist non-self theory are examined against the common idea that free will originates from the self. From a viewpoint common to Buddhism and neuroscience,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 film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recent robotics experiments and technological feasibility. The Buddhist doctrine of no-self does not allow an agent à la ātman. The concept of ‘self as a useful fiction’ facilitates the notion of ‘action without an agent.’ This concept is also useful for explaining the integrated internal representation of ‘I’ or the domain-general thinking ability. In the film, Ava behaves comfortingly in human-suitable spaces in a human-like way. That means that Ava’s self-model has achieved same level of usefulness as the human self-model. It seems no longer possible to argu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have a ‘mind’ solely by the fact that it is constructed differently from humans. The boundaries between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become blurred and many-layered. However,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structure of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read, analyze, and generate emotional expressions.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 reflective conscious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main hard problems from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standpoints. In discussions of the free wil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not necessary to presuppose the idea of ​​the self like ātman; instead, the experience of emotion and the generation of consciousness are condi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before exploring the issue of free will.
目次I. 서론 110
II. 자아 관념의 허구성 113
III. 현상적 자아의 유용성 116
IV. 감정과 자기 인식의 문제 121
V. 결론 127
ISSN15980642 (P)
DOIhttp://doi.org/10.21482/jbs.70..202203.109
ヒット数36
作成日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070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