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초기경전에 나타난 선정과 반야의 대립과 화해=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Samādhi and Prajñā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著者 김성철 (著)=Kim, Sung-chul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74
出版年月日2023.03
ページ1 - 26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조교수
キーワード선정; 반야= prajñā; 쌍운전도= yuganaddhavāhī; 신비주의= mysticism; 합리주의= rationalism; 통합주의= inclusivism; samādhi
抄録본 논문의 목적은 붓다의 정각 체험에서 시작하여 붓다와 제자들의 해탈을 공통적으로 서술하는 해탈도의 전형적인 서술을 거쳐, 초기 경전에 나타나는 선정-신비주의적 경향과 반야-합리주의적 흐름의 대립 양상, 그리고 그 양자를 조화시킨 양상을 유형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붓다의 정각 체험은 제4정려에서 4제를 통찰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이지만, 개념적 사고가 사라진 제4정려에서는 4제의 인식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립한 것이 해탈도의 전형적 서술로서, 이는 깨달음이 이르는 과정의 심리적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였다. 이처럼 깨달음의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는 두 가지 방면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고제의 완전한 인식 곧 반야의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멸제의 완전한 실현 곧 선정의 방식이다. 나아가 이 두 가지를 통합한 방식도 존재한다. 반야의 방식은 인격을 구성하는 요소 하나하나를 무상·고·무아로 관찰하여, 혐오감을 일으키고 그 혐오를 통해 집착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것이다. 이 전통은 선정의역할을 축소하거나 배후로 돌림으로서 사실상 그것을 배제한다. 이에 비해 선정의방식은 9차제주를 통해 획득하는 선정의 궁극 곧 멸진정을 통해 궁극적인 열반을 선취하고, 이를 통해 세간적인 욕망의 대상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 두 방식을 결합한 방식은 형식적으로는 9차제주 혹은 그 중에서 마지막 두 선정을 배제하는 형식을 갖고 있다. 이 중 전자의 방식은, 선정에 들어 그 선정 안의 여러 요소를 관찰한 후, 다음 단계의 선정으로 나아가 멸진정에서 최후의 벗어남을 얻는다고 한다. 후자는 9차제주의 마지막 두 단계를 배제할 뿐 아니라 선정의 각 단계에서 누의 멸진 곧 해탈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점에 근거할 때 전자는 신비주의자에의한 통합, 후자는 합리주의자에 의한 통합으로 보인다. 여기서 서술한 여러 수행법의 원형적 형태 그 자체는 그 성립의 선후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것의 이론적 발전 과정은 분명히 성립의 선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텍스트상으로 남아있는 해탈도는 이러한 이론적 발전 과정의 산물이다. 그리고 그 이론적 발전의 추동력 중 하나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심리적 개연성을 확보하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lict between the mystic tendency and the rationalistic current, as well as their integration, in the spiritual practices described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First of all, the Buddha's Enlightenment was said to be attained through insight into the Four Truths in the fourth dhyāna.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at it means to have insight into the Four Truths in the fourth dhyāna, where conceptual thinking has disappear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tereotyped description of the Path of Liberation was established as an attempt to pursue a psychologically plausible process of achieving enlightenment. In this way, enlightenment can be sought in two ways. One is full insight into duḥkhasatya, or the way of prajñā, and the other is the full realization of nirodhasatya, or the way of samādhi. Furthermore, there are methods that combine these two. The way of prajñā is to observe each and every components of the personality as anitya, duḥkha, and anātman, and then arouse aversion, and through that aversion, free oneself from attachment and achieve liberation. This tradition, by reducing or relegating the role of samādhi, eventually excludes it. In contrast, the way of samādhi is to temporally anticipate the ultimate nirvāṇa through nirodhasamāpatti, which is obtained through the Nine Successive States, and to obtain nirvāṇa by escaping from the objects of worldly desires. The methods combining these two approaches basically take the form of theNine Successive States or exclude the last two samāpattis among them. In the former, the practitioner enters samāpatti, observes the various elements in that state, then proceeds to the next stage of samāpatti, and finally attains final liberation in nirodhasamāpatti. The latter not only excludes the last two stages of the Nine Successive States, but also states that the extinction of cankers, or liberation, is possible at each stage of samāpatti. Based on this point, the former seems to be an integration by the mystic tradition and the latter by the rationalistic one. As for the archetypal form of the various methods of spiritual practices described he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order of their establishment. However, this theoretical development clearly seems to have a sequence of establishment. The ways of liberation that remain in the texts are the product of this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how that the momentum of the theoretical development was to pursue a psychologically plausible process leading to enlightenment.
目次I. 서 론 2
II. 『초전법륜경』에서 붓다의 정각 3
III. 해탈도의 전형적 서술 5
IV. 반야-합리주의 전통 6
V. 선정-신비주의 전통 9
VI. 반야와 선정의 조화 11
VII. 쌍 운 16
VIII. 결 론 20
ISSN15980642 (P)
DOIhttp://doi.org/10.21482/jbs.74..202303.1
ヒット数73
作成日2023.08.28
更新日期2023.08.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084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