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제견’(vibhāvanā)이라는 척도로 살펴본, 인도불교 문헌에 나타난 주지주의와 신비주의의 접전(接戰)=The Contest Between the Intellectual Tradition and the Mystical Tradition in Indian Buddhist Texts,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Vibhāvanā
著者 이영진 (著)=Lee, Young-jin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75
出版年月日2023.06
ページ1 - 28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キーワード신비주의; 주지주의; 제견=除遣; 무념・무작의=無念・無作意; 무상계에 대한 작의; 궁극적 대상에 대한 념; 내적으로 마음을 움추림; Intellectual tradition; Mystical tradition; Causing to disappear (vibhāvanā); asmṛtyamanasikāra; Concentration on the ānimittadhātu (ānimittadhātumanasikāra); Mindfulness on the highest object (paramārthasmṛti); Shrinking the mind inwardly (adhyātmacittābhisaṃkṣepa)
抄録본 논문은 불교명상의 두 가지 흐름인 주지주의와 신비주의, 그리고 그들의 힘겨루기를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논문의 목표는 한편으로 주지주의의 입장에서 신비주의 명상을 격하(格下)하는 인위적 시도를 보여주고, 다른 한편으로 신비주의 입장에서 전통적인 명상법을 부자연스럽게 해석하는 사례를 제시함을 통해, 인도불교 문헌 내에 이 서로 다른 두 흐름이 불교수행의 기저에서 힘겨루기하며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잣대로 ‘제견’(除遣)을 선택하여 두 전통의 접전을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우선 주지주의의 관점에서 신비주의 명상의 인위적 격하를 보여주고자 『유가사지론』<본지분>의 ‘무상삼매(無相三昧 ānimittasamādhi)’ 관련 개소를 골랐다. <사소성지>와 <삼마희다지>를 통해 이 무상삼매가 전형적인 신비주의적 명상법임을 확정하고, <성문지> 제3유가처의 서술을 통해서 이 명상법이 5종의 제견 중 ⑤ ‘무상계를 작의하는 방식에 의한 제견’과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문지> 제4유가처에서 이 무상삼매=⑤무상계를 작의하는 방식에 의한 제견이 ‘샤마타의 행상’ 즉 ①‘내적으로 마음을 움츠리는 방식에 의한 제견’으로 인위적으로 격하되고 있음을 <수소성지>의 개소를 참조하여 논증하였다. 신비주의 관점에서 전통적인 명상을 변형하는 사례로는 『반야경』과 그 주석서인 『현관장엄론』을 선택했다. 이 문헌들에서 전통적으로 신・수・심・법이라는 대상에 주의집중을 확립하고 이를 명확하게 인지하는 수행으로 받아들여진 사념처에 대해, ①내적으로 마음을 움츠리는 방식에 의한 제견 즉 명상대상을 관찰하거나 명확하게 인식하지 않고 단지 대상으로서 간직하는 방식의 명상으로 풀이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성문지>에서는 초심자가 행하는 초보단계의 명상방식이었던 ②무념・무작의에 의한 제견이 paramārthasmṛti, 풀이하자면 공성(空性) 혹은 무상(無相)이라는 궁극적 대상에 대한 념 즉 주의집중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concerns the two currents of Buddhist meditation (i.e., the intellectual and the mystical traditions) and their struggle.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with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these two different currents, competing with each other, operate at the foundations of Buddhist practice. To this end, on the one hand, it presents examples of artificial attempts to degrade mystical medi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llectualist current. On the other hand, it presents forced 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medi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ystical current. To clarify the contest between the two traditions, this study adopts vibhāvanā (annihilation of meditative objects from meditators’ consciousness), which can serve as a way to measure such attempts and interpretations. To demonstrate the artificial downgrading of mystical meditation, this study presents passages relating to ānimittasamādhi in the basic section of the Yogācārabhūmi. It also proves that the mystical experience of samādhi, which has been regarded as temporary anticipation of the state of nirvāṇa and reached by fixation of meditators’ minds on the ānimittadhātu, reduces to the mere aspect of tranquility (śamathākāra), holding meditative objects without examination and contemplation, which can be reached by shrinking the mind inwardly. To show the forced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meditation, this study refers to Ārya-Vimuktiṣeṇa’s explanation of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The sixth-century Buddhist scholar interpreted the method that centers on mindfulness and clear comprehension as the meditative technique of no-mindfulness and no- fixation of one’s mind (asmṛtyamanasikāra) and defined the technique as mindfulness on the highest object (paramārthasmṛti) which is equal/similar to the fixation of one’s mind on ānimittadhātu.
目次I. 들어가며 2
II. 제견: ‘무념・무작의’와 ‘무상계에 대한작의’ 5
III. 주지주의: ‘무상계에 대한 작의’를 ‘내적으로 마음을 움츠림’으로 격하하다 9
IV. 신비주의: 무념・무작의는 초보단계의 명상이 아니라, 궁극적 대상에 대한 념(念)이다 18
ISSN15980642 (P)
ヒット数73
作成日2023.08.28
更新日期2023.08.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084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