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keśa :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비유에 관한 고찰=The Inquiry of the Metaphor of the 'Keśādi appearing to the Taimirika'
著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29
出版年月日2010
ページ329 - 350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キーワード허망분별; 머리카락; 비실재의 현현; 눈병; 착오; 유식이십론; 쁘라마나바르띠까; buddhistlogic; vijJaptimAtra; pramANavArttika; viMzatikA vijJaptimAtratAsiddhi; bhrAnti; abhAvapratibhAsa; keza; taimirika; timira
抄録‘keśa’란 머리카락이나 털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교문헌에서 이것은 실재하지 않는 것이 실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로 사용되고 있다. 즉 비실재의 현현, 허망분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유식이십론에서 “이것은 오직 식일 뿐이다. 실재하지 않는 대상이 현현하기 때문에. 마치 눈병에 걸린 자에게 실재하지 않는 머리카락이나 [두 개의] 달 등이 보이는 것과 같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쁘라마나바르띠까에서도 유식학파의 견해를 언급하는 경우, 눈병에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의 비유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인식방법과 인식대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 비유는 약간의 내용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즉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등은 대상이 아니며, 그 이유는 대상으로서 信解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기술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나아가 다르마끼르띠는 그것을 無分別似現量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른 類似現量이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有分別似現量임에 반하여, 특히 그것은 분별이 없는 것이지만 감관의 손상으로 인해 생겨나는 착오의 한 가지로 설명된다. 불교논리학파에서 ‘keśa’의 비유를 유식학파에서 말하는 ‘허망분별’의 의미와 달리 ‘착오’의 문제에 한정하여 언급하고 있는 것은 이 비유의 의미에 관해 진전된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의미상의 변화를 가져 온 학파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보다 면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etaphor 'keśādi appearing to the taimirika'. It appears like hairs, flies etc. to the man(taimirika) who has the ocular disease. It alludes something to appear that does not have a real existence. The first eulogy in Twenty Verses(Viṃśatikā vijñaptimātratāsiddhi) insists "the three realms are mind only. When internal consciousness is born, it appears resembling external objects of perception. Like the hairs, flies etc. that one sees nonexistent because of the diseased eye. And the first eulogy in Pramāṇavārttika, the representative writing in the Buddhistlogic written by Dharmakīrti, insists "instumental cognitions are of two kinds. Because there are two kinds of objects in accordance with having the capability of telic function(arthakrīya) or not. Illusion such as the hairs that appear in the perception of a person who has an ocular disease are not objects(artha)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as the objects."The former, Vijñaptimātra school, insists that our empirical world is the mind only like the metaphor of the hair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not exist throughly. We can not help saying that it exists as a phenomenon of confusion(bhrānti). When we understand them truthfully and they are disappeared, persons can obtain the emancipation from the life of ignorance(avidya). The latter, Buddhistlogic school, insists that the hairs are not the objects(artha) to be grasped. But in the perception it can be the object(viṣya) to be perceived. Namely they are the objects in particulars which are the nature of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such as "These are hairs" have the universals as their objects. Nevertheless, there is no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appearance of hairs does not have any object. They regard the hairs as a perceptional illusion which is caused by the defect of sense organ.
目次I 들어가는 말. 330
II 유식학파 ‘허망분별’의 의미. 331
III 불교논리학파 ‘착오’의 의미. 336
IV 나오는 말. 345
ISSN12263230 (P)
DOIhttp://doi.org/10.32761/kjip.2010..29.011
ヒット数31
作成日2023.09.30
更新日期2023.09.3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3134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