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바마하(Bhāmaha)의 ‘소리에 의한 수사법’ 연구 _Kāvyālaṃkāra 2장 1∼20송을 중심으로=Study on Śabdālaṃkāra represented in Bhāmaha’s Kāvyālaṃkāra II. 1~20S
著者 류현정 (著)=Ryoo, Hyun-jung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41
出版年月日2014
ページ225 - 257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キーワード수사법; 알람카라= alaṃkāra; 소리에 의한 수사법; 바마하; 알람카라 학파; 카브야알람카라= Kāvyālaṃkāra; Bhāmaha; śabdālaṃkāra
抄録인도는 비단 순수문학의 범주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서나 종교서에서도 시적 운율과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을 적용한 게송을 통하여 사상을 전달해 왔다. 인도 고전 시학(詩學)에서 수사법은 Nāṭyaśāstra에 언급된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작시(作詩)의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이는 7세기경에 이르러 단순한 수사의 기술로서 뿐만 아니라 시학이론으로서 자리매김하여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그 가운데 특히 바마하(Bhāmaha)는 자신의 저작인 『카브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Ā)에서 수사법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는 수사법이 작시법(作詩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심지어 시학의 중심 주제로 다루어지는 라사(rasa)마저도 수사법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KĀ의 수사법 분류에 따르면 크게 ‘소리에 의한 수사법’(śabdālaṃkāra)과 ‘의미에 의한 수사법’(arthālaṃkāra)으로 양분되는데, 그중 ‘소리에 의한 수사법’은 아누프라사(anuprāsa)와 야마카(yamaka) 두 종류로 세분된다. 이는 음운의 반복적 사용, 동음이의어나 구절의 반복을 통하여 깊이 있는 시감(詩感)을 이루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카브야(kāvya)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 가운데서도 알람카라, 즉 수사법에 비중을 두었던 알람카라 학파에서 바마하의 위치에 대해 짚어보고, 그의 저작인 KĀ의 구성을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게송 연구의 예비적 고찰로서 2장 초반부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는 ‘소리에 의한 수사법’의 종류와 더불어 제시되어 있는 실례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헌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수사법 연구에 활기를 돋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India, poetical prosody and various figures of speech(alaṃkāra) have been applied not only in pure literature, but also in philosophical or religious works for delivering their thoughts. In the field of classical Indian poetics, alaṃkāra, after being appeared in Nāṭyaśāstra,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of versification. By the 7th century CE, it also has been treated actively by many scholars as poetical theory as well as a rhetoric skill. Among those figures, especially, Bhāmaha imbued alaṃkāra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his work Kāvyālaṃkāra(KĀ). He held that alaṃkāra mattered most in poetry and he brought rasa, which had bee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emes in poetics, also under alaṃkār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laṃkāra which is represented in KĀ, there are two kinds of alaṃkāra, that is, śabdālaṃkāra and arthālaṃkāra. The former one is made by sound or word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made by meaning. Śabdālaṃkāra which is dealt in this paper is subdivided into two kinds, anuprāsa and yamaka. They arouse poetic inspiration not only with rhymes or repetition of similar varṇas or words(anuprāsa) but also with repetitive homonymic pādas, repetition in serial āvalīs and in whole sentences(yamaka) as well. This paper, at first, introduces Bhāmaha’s role in the field of alaṃkāra school briefly and then analyzes composition of KĀ by each pariccheda and thematically. In succession, among various figures of speech, I have examined classifications and examples of śabdālaṃkāra in detail which show its practical applications especially represented in first 20 verses of KĀ. I hope, though tenuously, this research could energize future studies on figures of speech in Korea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s.
目次I머리말. 226
II 알람카라 학파에서 Bhāmaha의 위치. 228
III Kāvyālaṃkāra의 구성과 ‘소리에 의한 수사법’. 234
IV ‘소리에 의한 수사법’의 종류와 적용례. 238
V 결론. 250
ISSN12263230 (P)
ヒット数31
作成日2023.10.18
更新日期2023.10.1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441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