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다르마끼르띠에 있어서 언어인식의 문제=The awareness of language in Dharmakīrti
著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41
出版年月日2014
ページ393 - 417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강의초빙교수.
キーワード자기인식=self-cognition; 유형상지식론론; 이상성; 다양불이론; 다르마끼르띠= Dharmakīrti; citrādvaita; dvirūpatā; sākāravāda; svasaṃvedana
抄録본 논문의 목적은 7세기 불교논사인 다르마끼르띠(약 600~660년)의 논리에 따라 음성의 발성과 그것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해명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는 우리의 인식이란 외부에 실재하는 대상의 인식이 아니라, 대상이 知에 남긴 형상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모든 인식은 知 자신의 인식, 즉 자기인식(svasaṃvedana)일 뿐이다. 그런데 2중모음 등 장모음에 있어서 발성된 앞선 모음은 어떻게 다음 모음이 발성 될 때까지 남아 있다가 장모음에 대한 최종적인 인식을 성립시키는 것일까. 여기에서 다르마끼르띠는 앞선 순간 경험된 것에 대한 자기인식이 없다면, 장모음에 대한 인식은 가능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는 먼저 디그나가의 二相性의 논리에 따라 ‘대상의 형상’과 ‘[知] 자신의 형상’ 두 가지가 생겨난다는 것을 추론하고 자기인식이 성립함을 논증하고 있다. 또한 기억에 의하여 자기인식의 성립함을 논증하고 있다. 장모음에는 앞선 찰나와 이후 찰나에 걸쳐 다수의 부분음성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이 문제를 ‘다수의 형상은 단일한 知에 의하여 파악된다’고 말하는 다르마끼르띠의 진술을 통해 해명해볼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진술은 후대에 전개된 다양불이론의 단초가 되기도 하는데, 공간적으로 펼쳐진 다양한 색의 인식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부분음성의 인식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has an intention of explaining the vowel sound perception in the Pramāṇavārttika kk. 484~510. According to Dharmakīrti's theory,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an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ākāra in the awareness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namely 'the self-cognition(svasaṃvedana)'Then how can we explain the awareness of a diphthong, a multiplex vowel and so on? How can the preceding vowel last till the following vowel? In this point Dharmakīrti drew the theory of self-cognition. If there is not the self-cognition, he insisted, it is not possible to perceive a long vowel. First of all he demonstrates the theory of dvirūpatā according to Dignāga. The dvirūpatā theory suggests the model of two forms of ākāra, namely the ākāra of object and cognition itself. Then he argued the establishment of self-cognition. And he insisted that self-cognition can be established from the recollection(smṛti). The awareness of a long vowel is composed with the partial vowels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How can the one awareness grasp all the partial vowels? Here we can induce the Dharmakīrti's mention: the various ākāras can be cognized with only one perception. This statement is supposed to the clue of citrādvaita theory. As like the various colours can be cognized with one awareness, it could be explain the partial vowels can be cognized with one awareness. I think it should be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awareness lies in the basis of sākāravāda and svasaṃvedana.
目次I 머리말. 394
II 단모음의 인식. 395
III 장모음의 인식. 399
IV 적자와의 대론. 405
V 맺음말. 412
ISSN12263230 (P)
ヒット数22
作成日2023.10.21
更新日期2023.10.21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465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