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꿈꾸는 자와 요가 수행자 - 불교와 쉬바파의 관념론적 상관성=The Dreamer and the Yogi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and Śaiva idealisms
著者 Ratié, Isabelle (著) ; 정승석 (譯)=Jung, Seung-suk (tr.)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45
出版年月日2015
ページ193 - 273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University of Leipzig, Institut für Indologie und Zentralasienwissenschaften, Leipzig, Germany.
역자정보: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jungss@dgu.edu
キーワード유식= Vijñānavāda; 재인식; 쉬바파 관념론=Saiva Idealism; 경량부= Sautrāntika; 유가행= Yogācāra; 요기= Yogi; Pratyabhijñā
抄録카슈미르의 철학자인 Utpaladeva와 Abhinavagupta가 10~11세기에 대성시킨 것이 재인식(Pratyabhijñā)설이며, 이것은 Śaiva(쉬바파)의 불이론(不二論)적 성전들에 포함되어 있는 형이상학적 원리들이 이성적으로 정당하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그러나 우리의 기대치와는 반대로, Utpaladeva와 Abhinavagupta가 자신들의 관념론을 옹호할 때 의존하는 많은 주장들의 전거가 Śaiva라기보다는 불교에 속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론은 불교의 인식논리학파가 재인식설에 미친 심원한 영향을 검토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또한 Utpaladeva와 Abhinavagupta가 자신들의 논적인 불교의 영향을 알아채지 못하거나 무심결에 받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할 것이다. 즉, 그들은 이 영향을 체계적으로 역설하고 있으므로, 논적들의 개념을 전용한 책임은 전적으로 그들 자신에게 있다. 더욱이 그들은, 의식이 겉으로 보기에는 외적이고 가지각색의 세계로 현현하는 방식에 관해, 가장 현저하게는 식론자(Vijñānavādin)들의 전통적인 비유를 대체하는 것으로 자신들의 주장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다. Śaiva에 따르면, 지각된 대상들은 꿈속의 대상이 아니라 요가 수행자의 산물들로 비유되어야 한다.

The Pratyabhijñā system, elaborated in the tenth and eleventh centuries by the Kashmiri philosophers Utpaladeva and Abhinavagupta, presents a rational justification of the metaphysical principles contained in the Śaiva nondualistic scriptures. However, contrary to what one might expect, many arguments to which Utpaladeva and Abhinavagupta resort when defending their idealism belong to Buddhist rather than Śaiva sourc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found influence, in this respect, of the Buddhist “logico-epistemological school” on the Pratyabhijñā system. But it also shows that Utpaladeva and Abhinavagupta are not unknowingly or unwittingly influenced by their Buddhist opponents: they systematically emphasize this influence, thus taking full responsibility for appropriating their rivals’ concepts. Moreover, they highlight their fundamental divergence regarding the way consciousness manifests a seemingly external and diverse universe, most notably by replacing the Vijñānavādins’ traditional analogy: according to the Śaivas, perceived objects should not be compared to dreamt objects, but to yogins’ creations.
目次1. 서론 195

2. 식론으로부터 도입한 주요 논거: 대상과 이것의 인식에 대한 동시 지각의 필연성 197

3. 식론으로부터 도입한 추가 논거들: 외적 대상의 모순성 212

4. 자신들의 관념론을 식론과 차별하는 재인식론 철학자들의 전략 224

5. 현상적 다양성의 원인에 관한 견해 차이: 훈습 이론과 꿈 모형 비판 225

6. 제안하는 다른 모형: 요기(요가 수행자)의 창조 238
7. 지각 또는 자유의 수동성 245
8. 결론 261
ISSN12263230 (P)
ヒット数38
作成日2023.10.22
更新日期2023.10.22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4711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