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나는 승의자성의 의미=On the Meaning of Pāramārtha-svabhāva in Tsong-kha-pa’s Lam Rim Chen Mo
著者 이태승 (著)=Lee, Tae-seung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59
出版年月日2020
ページ109 - 133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과 교수
キーワード쫑카파=Tsong-kha-pa; 찬드라키르티= Candrakīrti; 보리도차제대론; 자성; 승의자성; Intrinsic Existence; Intrinsic Existence as Ultimate Reality; Lam-Rim-Chen-Mo
抄録쫑카파는 그의 사상을 최초로 본격적으로 기술한 『보리도차제대론』의 <비파샤나장> 전체에 걸쳐 무자성과 연기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소위 ‘중관파 불공의 승법’을 논증하고 있다. 이 ‘중관파 불공의 승법’은 쫑카파 전생애를 걸쳐 중시된 사상적 입장으로 무자성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무자성을 논증하는 <비파샤나장>과 거의 동일한 부분에서 쫑카파는 자성을 승의제 내지는 법성으로서 긍정하는 언설을 전개하고 있다. 무자성의 논증에 심혈을 기울이는 쫑카파가 자성을 긍정하는 유자성의 논술을 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모순된 듯이 보이는 것으로, 쫑카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유자성의 논술은 쫑카파가 의지하는 인도의 중관논사인 찬드라키르티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쫑카파도 기본적으로 찬드라키르티의 입장을 따르는 것이라 생각된다. 곧 찬드라키르티가 궁극의 경계로서 승의제의 경지를 자성으로 부르고 있는 것을 받아드리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인도 중관파의 역사에서 자성을 승의제로 간주한 사람은 찬드라키르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따라서 무자성의 논증에 엄격한 입장을 견지하는 쫑카파가 자성을 인정하는 듯한 입장은 쫑카파의 사상 전체를 이해하는 데서도 중요한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Tsong-kha-pa, who is the great thinker of Tibetan Buddhism and the founder of dGe-lugs-pa, is demonstrating the so-called "the distinguishing teachings of Madhyamaka" in which the absence of Intrinsic Existence(svabhāva) and the meaning of Dependent-Origination have the same meaning throughout Vipaśyanā chapter of Lam Rim Chen Mo which first described his thoughts in earnest. This distinguishing teachings of Madhyamaka is a ideological stance that was emphasized throughout the lifetime of Tsong-kha-pa and shows a clear stance on the absence of Intrinsic Existence. However, in almost the same part of Vipaśyanā chapter, which argues for Non-Intrinsic Existence, Tsong-kha-pa develops an argument that affirms Intrinsic Existence as an existence of Ultimate Reality and the Reality of phenomena(Pāramārtha-svabhāva). It seems quite contradictory that Tsong-kha-pa who is devoted to the argument for the absence of Intrinsic Existence, is arguing for affirmation of Intrinsic Existence. I think this is an important part of understanding Tsong-kha-pa’s thoughts. This position of affirming Intrinsic Existence is based on the position of Candrakīrti, Indian Madhyamaka thinker, which Tsong-kha-pa relies on. This means that Tsong-kha-pa is accepting the Intrinsic Existence as Ultimate Reality that Candrakīrti recognizes it as the Ultimate Truth. However, while Tsong-kha-pa and Candrakīrti use the word Intrinsic Existence as the ultimate truth, they argue that it uses the word Intrinsic Existence in a secular sense. Even being used in this secular sense is the same in both Tsong-kha-pa and Candrakīrti. But no one except Candrakīrti used the word Intrinsic Existence as the Ultimate Truth in the history of the Indian Madhyamaka system. Therefore Tsong-kha-pa’s description of affirming Intrinsic Existence, which maintains a strict position on the proof that there is Non-Intrinsic Existence, is thought to present an important problem in understanding Tsong-kha-pa’s entire thought.
目次I 서언. 110
II 『보리도차제대론』의 자성 해석. 111
III 『대론』에 인용되는 찬드라키르티의 승의자성 논술. 121
IV 결어 127
ISSN12263230 (P)
ヒット数64
作成日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39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