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고전 산스크리트 희곡 수사법에 관한 일고찰: 『나가난다』의 적용례 분석을 중심으로=A Brief Study on Practical Application of Alaṃkāra in Sanskrit Literature: Focused on the examples in the verses of the Nāgānanda
著者 류현정 (著)=Ryoo, Hyun-jung (au.)
掲載誌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巻号n.60
出版年月日2020
ページ127 - 165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サイト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
キーワード알람카라= alaṃkāra; 수사법=figure of speech; 나가난다= Nāgānanda; 산스크리트문학=Sanskrit literature; 인도문학=Indian literature
抄録고전 산스크리트 시론에서는 시어의 활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의 적용 및 활용을 권장한다. 문학작품의 창작에 임한 시인들은 여러 시학자들의 이론에 따라 이를 시에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수사법에 대한 이해는 해당 작품의 감상자가 풍부한 암시를 이해하도록 해 주는 동시에 시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는 알람카라(alaṃkāra) 학파의 선구자였던 바마하(Bhāmaha)의 이론이 담긴 저서 『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A)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당 수사법이 실제로 문학 작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원전의 게송들에서 추출하여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A와 유사한 시기에 작성된 하르샤 왕의 희곡작품 『나가난다』(Nāgānanda, 이하 Nāg)를 채택하고자 한다. Nāg는 7세기 무렵 북인도 지방을 통치했던 왕 하르샤 바르다나(Harṣa Vardhana, 재위 606~647년)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고전 산스크리트 희곡으로서, 소재와 구성 면에 있어 라사의 표현이나 암시성이 명확하고, 다양한 수사법을 어렵지 않게 사용하고 있어 실질적 적용례로 삼기에 좋은 작품으로 생각된다. 이에 해당 작품의 게송 부분 중 수사법 적용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분들을 추출하여 이를 고찰한다. 이 과정을 통해 단순한 이론으로서가 아닌 실제 문학적 장치로서의 수사법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Classical Sanskrit poetics (kāvya) recommends the application and use of various rhetorical methods or figures of speech (alaṃkāra) in relation to the use of poetic language. The poets have applied various literary devices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kāvya-śāstra tradition, therefor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alaṃkāras helps the reader not only to understand rich hints about suggestive allusions under the surface, but also to enhance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expressions. Even though the alaṃkāras as literary devices have been theoretically established by various scholars for a long time, these are not only left as a theory, but are found as practical techniques for versificational usage.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pplication examples in actual literary work based on my previous studi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the theories of alaṃkāras in the Kāvyālaṃkāra (KA) of Bhāmaha. I would like to consider how those alaṃkāras have been applied practically through citation and analysis of the verses from the drama Nāgānanda (Nāg) written in a similar period as KA. Among classical Sanskrit poetry, Bhāmaha is regarded as a pioneer of the alaṃkāra school, while on the other hand, Nāg is a Sanskrit play written by Harṣa Vardhana (reigned 606-647), who ruled northern India around the 7th century. Nāg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best examples of a text that can help one to grasp the proper and simple usages of alaṃkāras, and a text which can easily be understood in comparison to other works. Throughout the Nāg, there are many straightforward examples of how the different aspects of alaṃkāras have been utilized—especially the aspects of arthālaṃkāras, such as metaphors, comparisons, similes, puns, and more.
目次I 서론. 128
II KA 수사법 일람. 130
III 『나가난다』의 적용례. 136
IV 결론 160
ISSN12263230 (P)
ヒット数53
作成日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539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