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혜암성관(慧菴性觀, 1920~2001)의 선사상과 한국불교에서의 위상=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iest Hyeam’s Zen Philosophy and Its Status in Korean Buddhism
著者 정영식 (著)=Jeong, Yeong-shik (au.)
掲載誌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巻号n.13
出版年月日2019.06
ページ297 - 328
出版者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出版サイト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문화콘텐츠연구소 수석연구원
キーワード해인사=Haeinsa Temple; 능엄경=Śūraṁgama-sūtra; omaeilyeo=오매일여; 유심정토= yushimjeongto; 혜암성관= Hyeamseonggwan
抄録慧菴性觀(1920~2001)선사는 조계종의 제 10대 宗正이며 大禪師이다. 먼저 그의 경전인용의 특징을 살피면, 圭峰宗密(780~841)이나 永 明延壽(904~975)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종밀이나 연수는 모두 禪 敎兼修를 주장한 인물들로서 조선시대 이래 많은 승려들이 인용해왔다. 하지만 혜암선사는 종밀과 연수에 대해서 거의 인용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혜암이 頓悟頓修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또 혜암은 唐代의 선어록을 주로 인용하고 宋代선사들의 어록은 별로 인용하고 있지 않다. 특히 大慧宗杲(1089~1163)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는 것은 다른 승려 들과 다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혜암이 唐代禪을 모범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혜암 선사상의 특징으로는 먼저 淨土往生을 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다. 조선시대의 승려들은 대부분 西方淨土를 인정하였고, 죽고나서 정 토에 왕생할 것을 희구하였다. 하지만 혜암은 오직 唯心淨土만을 주장 할 뿐이며, 靈駕法門에서도 정토왕생을 설한 적은 없었다. 이러한 점은 혜암이 선승의 본분에 충실했다는 증거이다. 또 혜암은 寤寐一如를 얻 은 뒤에야 비로소 究竟覺을 획득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오매일여의 개념은 楞嚴經과 깊은 관계에 있다. 楞嚴經은 고려시대 이후 많은 승려들이 영향을 받았는데 선승들이 능엄경을 통해서 무엇을 얻으려 했는지, 특히 해인사에서는 능엄경이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A Buddhist priest, Hyeamseonggwan(慧菴性觀; 1920-2001) was the tenth generation of the Jogye Order’s highest priest. As for his style of scripture quotations, he made little reference to Guifeng Zongmi(圭峰宗密; 780-841) or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975). Both advocated the idea of seongyogyeomsu(禪敎兼修), and have been widely referred by many Buddhist priests since the Joseon period. And yet, priest Hyeam hardly did so as he advocated the idea of donodonsu(頓悟頓修). He mostly referred to quotations from the Tang dynasty, while rarely referring to those from the Song dynasty. He is also set apart from other priests in that he rarely mentioned Dahui Zonggao(大慧宗杲; 1089-1163). It is because priest Hyeam believed that Zen buddhism of the Tang dynasty was superior. As for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priest Hyeam, he did not preach the idea of jeongtowangsaeng(淨土往生). Most priests of the Joseon dynasty acknowledged the idea of seobangjeongto(西方淨土) and yearned to be born again in that pure land after death. However, priest Hyeam only advocated the idea of yushimjeongto (唯心淨土), and never preached about jeongtowangsaeng in younggabeopmun(靈駕法門). This is a proof that he was faithful to his duty as a Zen priest. He argued that one can attain gugyeonggak(究竟覺) only after acquiring omaeilyeo(寤寐一如), which is closely related to Śūraṁgama-sūtra(楞嚴經). Śūraṁgama-sūtra exerted influence on many priests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it needs to be further examined how the scripture was accepted at the Haeinsa Temple.
目次Ⅰ. 서론 299
 Ⅱ. 본론 300
  1. 혜암 선사상에 미친 경전과 조사어록 300
   1) 경전류 301
   2) 조사어록류 303
   3)우리나라의 선적 306
  2. 혜암 선사상의 특이성 311
   1) 유심정토(唯心淨土)론 311
   2) 오매일여(寤寐一如)론 315
 Ⅲ 결론 324
ISSN22889191 (P)
ヒット数26
作成日2023.11.18
更新日期2023.11.1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728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