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밀엄경』의 여래장설=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ghanavyūhasūtra
著者 김준우 (著)=Kim, Jun-woo (au.)
掲載誌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巻号v.64 n.0
出版年月日2022.11
ページ335 - 365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생
キーワード『밀엄경』= Ghanavyūhasūtra; 여래장= Tathāgatagarbha; 알라야식= Ālayavijñāna; 전변= Pariṇāma; Sāmkhya=상캬
抄録『밀엄경』에서는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결합시키고 있는 문구가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두 개념이 결합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밀엄경』의 여래장설을 고찰하였다. 먼저 『밀엄경』에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결합시킬 때 등장하는 비유인 금과 반지의 비유를 티벳역과 『밀엄경』내의 다른 관련 개소들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금과 반지의 비유에서 금은 여래장과 알라야식 양자를 모두 가리키며 반지는 세간을 가리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밀엄경』에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의 결합이 등장하는 문맥과 『밀엄경』이 여래장으로부터의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인 ‘여래장의 변사’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밀엄경』에서의 여래장과 알라야식의 결합 의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밀엄경』에서는 기존 여래장사상이 갖는 현상성립론의 미비점을 유식사상의 식전변 개념을 통하여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여래장을 알라야식과 결합시켰다고 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래장의 변사로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는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은 사상적 측면에서, 그리고 사용하는 비유의 측면에서 상캬의 전변설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밀엄경』에서 변사의 주체로 삼아지는 여래장은 상캬가 전변의 주체로 삼는 원질과 마찬가지로 상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은 사상적 측면에서 상캬의 전별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밀엄경』에서 여래장으로부터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과 반지의 비유와 우유의 비유는 상캬의 전변설에서도 동일한 취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그러므로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을 사용하는 비유의 측면에서도 상캬의 전별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ghanavyūhasūtra which combines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First, I analyzed the metaphor of gold and ring that appears when combining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based on the tibetan translation and other related sites within ghanavyūhasūtra. As a result, I deduced that the gold refers to both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nd the ring refers to mundane phenomenon. Next, I considered the purpose of combining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by analyzing the context in which these two concepts emerge and the idea of ‘change of tathāgatagarbha’. And I deduced that in the ghanavyūhasūtra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combined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an explan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phenomenon of existing tathāgatagarbha theory. Finally, I pointed out that the the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of ghanavyūhasūtra, which explains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as a ‘change of tathāgatagarbha’, is similar to Sāmkhya’s the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in both ideological aspect and metaphor used.
目次I. 서론 338

II. 밀엄경의 결합문구 339

III. 밀엄경의 여래장과 알라야식 결합목적 344
IV. 밀엄경과 상캬의 전변설 349

V. 결론 359
ISSN12297968 (P)
DOI10.22859/bojoss.2022..64.011
ヒット数14
作成日2023.11.28
更新日期2023.11.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800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