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박한영의 독립운동가 서훈 문제=Park Han-Young's Independence Activist Award Issue
著者 김순석 (著)=Kim, Soon-seok (au.)
掲載誌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巻号v.39 n.0 근현대 불교 인물 탐구
出版年月日2023.06
ページ9 - 36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サイト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キーワード박한영=Park Han-young; 불교계 개혁운동=Reform movement through Buddhist group; 사찰령철폐운동=Movement to abolish temple ordinances; 임제종설립운동=Establish the Imje Order; 한성임시정부=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대동단= Daedongdan; 중앙불교전문학교=Central Buddhist College
抄録박한영은 한말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세월을 살다 간 불교계의 고승이다. 그는 민족사가 수난을 당하던 시기에 항일의식이 투철하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으며, 불교계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였던 개혁론자였으며 평생을 후학 지도에 헌신한 교육자였다. 박한영의 행적은 크게 세 가지 면으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첫째 불교계 개혁을 통한 유신운동, 둘째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 셋째 한성임시정부 참여와 대동단 활동을 통한 항일운동 등이다. 그의 개혁운동은 한국 불교계의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었는데 이러한 노력은 임제종 설립운동과 사찰령철폐운동, 대중교화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력은 식민지 치하에서 항일운동과 맞닿아 있었다. 박한영의 불교계 유신운동은 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반봉건·반외세를 지향하면서 일제의 종교 침략으로부터 한국 불교계의 주체성 회복을 위한 노력이었다. 박한영의 독립운동은 한성임시정부, 대동단 활동, 「韓國人民致太平洋會議書」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모두 주체적이고 독자적인 근대 민족국가건설을 지향한 힘든 노력이었다. 박한영의 지도와 영향을 받은 후학들은 그의 독립운동 행적을 기리고자 2010년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로 선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국가보훈처에서는 박한영의 항일운동 행적을 심사한 결과 보류 판정을 내렸다. 그 까닭은 중일전쟁 이후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전개될 무렵 박한영이 중앙앙불교전문학교 교장으로서 근로보국대장을 지냈다는 것이 결격 사유가 되었다고 한다. 국가보훈처의 이러한 결정은 나무를 보되 숲을 보지 못한 단편적인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는 일제의 침략이 시작되었던 초기부터 해방이 되는 그 순간까지 수많은 항일운동가를 키워냈으며 그 자신이 직접 그 선봉에 섰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명하고 박한영 행적의 불교계 개혁운동과 교육사업 그리고 독립운동을 밝히고 그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 논문이 박한영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한 계기가 되어 근현대 불교계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Park Han-young is a high priest in the Buddhist world who lived through turbulent times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modern society. He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a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at a time of hardship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Park Han-young's career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Reform movement through Buddhist group, second,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rough education, and third, the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Daedongdan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his Buddhist reform movement was an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ese effort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movement to establish the Imje Order, the movement to abolish temple ordinances, and to educate the public, which were part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Park Han-young's Buddhist Restoration Movement was an effort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Korean Buddhist circles due to the religious agg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aiming for an anti-feudal and anti-foreign power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Park Han-young's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the activities of the Daedongdan, and submission of the Korean People's Pacific ocean Peace Conference. All these activities were laborious efforts aimed at constructing an independent and independent modern nation-state. Park Han-young's disciples aske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o select him as a meritorious person for independence in 2010 to commemorate Park Han-young's deeds. It is said that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made a suspended decision after examining Park Han-young's anti-Japanese movements. It is said that the problem was that Park Han-young served as the head of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as the head of the labor patriotism at the time of the National Spiritual Mobilization Move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is thesis attempts to elucidate these problems, reveal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education project,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Park Han-young, and suggest a new alternative by finding its significance.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 research of Han-Young Park and open a new horiz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world.
目次I. 머리말 12

II. 박한영의 근대 불교계 개혁운동과 독립운동 17
1. 근대 불교계 개혁운동 17
2. 독립운동 행적 21

III. 독립유공자 서훈 문제 25
IV. 맺음말 30
ISSN12291080 (P)
ヒット数17
作成日2023.12.16
更新日期2023.12.16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89108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