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자장 관련 연구의 성과와 과제=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Research Related to JaJang (慈藏)
著者 신선혜 (著)=Sin, Sun-hye (au.)
掲載誌 불교와 사회=佛教與社會
巻号v.13 n.2 자장율사와 정암사의 역사
出版年月日2021
ページ37 - 68
出版者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出版地Gimpo, Korea [金浦市,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호남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キーワード자장=慈藏= JaJang; 오대산=五臺山= Odaesan; 계율=戒律=Religious Precepts; Hwaeom=화엄=華嚴; 계단=戒壇=A Platform of Receiving the Religious Precepts; 수계=受戒=Ordination Ceremony
抄録자장(慈藏)에 대한 연구는 착종된 사료에 대한 합리적 이해와 기존 사료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방대한 연구성과를 모두 정리할 수 없는 한계 속에서 자장 연구에 논점이 되는 부분을 선별하여 연구의 현황과 재고가 필요한 부분, 그리고 또 다른 시각에서의 해석 가능성 등을 제시해보았다.

논점은 크게 자장의 생애-생몰년 및 출가동기-, 입당(入唐) 행적-오대산행-과 신라사에 있어 그의 정치, 외교적 역할, 그리고 사상과 신앙 경향-계율 및 화엄 등으로 대별된다. 각 논점별로 연구경향의 특징이 발견되었는데, 자장의 생애 및 입당 행적과 관련한 연구들은 자장 관련 사료의 취신 여부에 따라 다른 결론이 도출되었다. 원효, 의상을 제외하면 한국 고대의 승려 중 자장은 비교적 여러 곳에 기록이 남겨져 있음에도 인물 연구의 가장 기본적 주제인 생몰년에 대해서도 연구자 간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료의 착종이 심하고, 당대 혹은 후대의 변형된 인식이 사료에 다수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는 자장이 그만큼 다양한 행적을 보였고, 나아가 후대에까지 그의 위상에 대한 천착이 지속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도 파악할 수 있다.

자장의 정치, 외교적 역할에 대한 연구들 역시 그의 행적에 대한 사료 간 상반된 기록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나, 이와 함께 당시 신라의 국내적 상황과 자장이 입당(入唐)을 통해 파악한 중국의 정치, 사상적 변화상 등을 바탕으로 그의 위상이 가늠되었다. 특히 동시기 김춘추의 활동 양상과 비교하여 파악하고, 자장의 말년 기록의 모호함이 그의 정치적 실각에서 비롯되었다는 시각이 주류를 이루었다.

한편, 자장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그의 사상 및 신앙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앞서의 연구들과 달리 견해 간 대립을 보이지는 않지만, 특히 자장의 화엄사상을 강조하는 견해들은 그의 입당 후 오대산행에 대한 긍정이 토대가 되는 만큼 사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주요한 연구방법이 되었다.

그간 다양한 접근을 통해 방대한 양의 연구성과가 도출되었음에도 여전히 사료로 돌아가 이를 면밀히 살피고, 방증 사료에 이르는 관련 내용에 대한 천착이 필요함을 본고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Research on JaJang (慈藏) is progressing toward a rational understanding of mixed historical records and analysis of existing historical records from a new perspective. Within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summarize all of the vast research results, this paper selected the issues that are the subject of JaJang's research and sugges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the areas that need reconside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issues are broadly divided as follows: The life of JaJang, year of his birth and death, motives of become a Buddhist monk, entering the Tang Dynasty, the Journey to Mt. Odae, his political and diplomatic roles in the history of Silla, tendencies of thought and belief, religious precepts and Hwaeom,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rend were found for each issue, and different conclusions were drawn depending on whether the JaJang-related sources were trusted or not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life of JaJang and entering the Tang Dynasty. With the exception of WonHyo and EuiSang, among the Buddhist monks of ancient Korea, JaJang has been recorded in relatively many places. Nevertheless, the fact that researchers cannot agree on the most basic subjects of character research, such as the year of birth and the year of death, means that the historical records are seriously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and that many of the changed perceptions of the contemporary or later generations are reflected in the historical records.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fact proves that JaJang showed that many different traces, and furthermore, research on his status continued until later generations. Studies on JaJang's political and diplomatic roles were also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rationally interpreting the conflicting records of his trace but at the same time, his status was assessed based on the domestic situation of Silla at the time and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nges in China that JaJang grasped through entry into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at the same time, his traces were compared with the activities of KIM CHUN-CHU, and the view that the ambiguity of JaJang's later records stemmed from his political resignation was mainstream.

On the other hand, most of JaJang'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trends of his thoughts and belief. Unlike previous studies,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views in this regard, but in particular, in the views that emphasize JaJang's Hwaom Idealism (Flower Garland Sutra), a thorough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became a major research method as it is the basis for his journey to Odaesan after entering the Tang Dynasty.

Even though a vast amount of research results have been deriv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this paper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once again
目次I. 머리말 39

II. 자장의 생애와 입당 행적 42
III. 자장의 정치, 외교적 역할 48
IV. 자장의 사상과 신앙 경향 53
V. 맺음말 60
ISSN20929277 (P)
DOI10.33521/jbs.2021.13.2.37
ヒット数10
作成日2023.12.28
更新日期2023.12.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0006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