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원효와 길장의 만남과 대화 ― 『금강삼매경론』의 출입관과 삼론종의 출입관 사이의 연속성과 비연속성에 대하여=The Meeting and Conversation between Wonhyo and Jizang
著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1 n.0
出版年月日2017.10
ページ110 - 140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キーワードZhiyi=지의=智顗; Jizang=길장=吉藏; Falang=법랑=法朗; Pingdengguan=평등관=平等觀; Erdi-guan=이제관=二諦觀; Churuguan=출입관=出入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the Commentary on the Vajrasamadhi Sutra; Wonhyo=원효=元曉
抄録원효는 7세기 중국에서 흡수한 여러 다른 교학체계를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회통하여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건립하였다. 따라서 당시 주류 사상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원효 사상의 사상사적 토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에 나타난 이제관과 평등관에 주목하여, 삼론종과 천태종에서 나타난 함의와 비교를 통해, 원효와 이전 사상 간의 연속성과 비연속성을 고찰하였다. 삼론종 법랑에서 ‘불이는 곧 이제이고 이제는 곧 불이’인 상즉 논리를 통해 이제관과 평등관은 서로 동등한 위상이 되었고, 나아가 서로 무애하게 되었다. 즉, 삼론종에서의 출입관은 양자를 동시에 함께 관조하는 ‘병관(竝觀)’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법랑의 제자 길장은 이 점을 분명하게 밝히며, 병관의 세 가지 차원, 즉 수평적, 수직적, 득실을 전개하였다. 반면, 천태종 지의의 삼관에서 이제관과 평등관은 중도제일의제관에 이르는 단계적 방편일 뿐이고, 중도제일의제관이야말로 이제를 평등하게 쌍조하는 궁극적인 경지다. 원효가 이제관과 평등관의 논리적 선후를 인정했다는 점에서는 천태 지의가 삼관 중 이제관과 평등관의 위계성을 설정했던 점과 일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원효의 전체 교학 구조에서 본다면, 이제관과 평등관은 초지에서 동시에 구족되는 것으로 두 관법이 그 자체 중도라는 측면에서 삼론종의 해석과 일맥상통한다.

In the 7th century, Wonhyo(元曉) built his unique system of thoughts through absorbing various teaching systems in China in his own way. Therefore, if we compare Wonhyo's thought with the mainstream thoughts at that time, we can understand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his thoughts. In this paper, I will pay attention to the Erdi-guan(二諦觀) and the Pingdeng-guan(平等觀) shown in the Commentary on the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and examine the continuity and the discontinuity between Wonhyo and the previous though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implications in Sanlun School and the implications in Tiantai School. Wonhyo recognized the logical order between the Erdi-guan and the Pingdeng-guan, and it certainly has the similarity with Tiantai Zhiyi's Three Methods of Contemplation, which has vertical relations among them. However, if we look at the whole teaching structure of Wonhyo, it is in accord with the interpretation of Sanlun School in terms that the Erdi-guan and the Pingdeng-guan is nothing else but the Middle Way.
目次I. 들어가며 112
II. 금강삼매경론의 이제와 출입 114
III. 출입관 : 이제관과 평등관 117

1. 법랑의 이제관과 평등관 117

2. 길장의 이제관과 평등관 122

3. 천태 지의의 이제관과 평등관 128
4. 원효의 이제관과 평등관 132
IV. 나오며 137
ISSN25863843 (P)
ヒット数16
作成日2023.12.28
更新日期2023.12.28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0022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