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원효와 의상의 만남과 헤어짐 ― 육상설(六相說)을 중심으로=Meeting and Parting of Wonhyo and Uisang - Presented by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 |
|
|
|
著者 |
박보람 (著)=Park, Bo-ram (au.)
|
掲載誌 |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
巻号 | v.5 n.0 |
出版年月日 | 2019.10 |
ページ | 139 - 167 |
出版者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
出版サイト |
http://www.duwbsi.or.kr
|
出版地 | Seoul, Korea [首爾, 韓國] |
資料の種類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言語 | 韓文=Korean |
ノート | 저자정보: 충북대 철학과
|
キーワード | the Dilun school=地論宗=지론종; Zhiyan=智儼=지엄; Uisang=義相=의상; Wonhyo=元曉=원효;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六相說=육상설 |
抄録 | 이 글은 원효와 의상의 사상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밝히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그 둘의 사상적 공통 분모인 화엄 교학, 그 중에서도 육상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육상설 관련 논의 가운데 특히 육상의 여섯 항목의 관계와 적용 대상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십지경론』부터 지론종의 정영사 혜원(慧遠)과 지엄(智儼)의 육상설 논의를 먼저 살펴본 결과 『십지경론』에서 설명된 여섯 항목의 관계 중 총별의 관계는 그다지 변화를 보이지 않지만 동이성괴는 매우 다양한 변화의 폭을 보여준다. 또한 『십지경론』이 설정한 육상설의 사법 적용 제외는 익히 알려져 있듯이 혜원에 의해서 해제되지만 육상설의 무조건적인 사법 적용은 혜원과 지엄의 단계에서도 아직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육상설에 대한 이와 같이 다양한 해석 가운데 원효의 육상설은 동이의 설명에서 특색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지론종의 육상설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의상은 그 이전까지 여러 변화 속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던 총별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육상설 변천사에 또 하나의 변곡점을 찍는다. 그 이유에 대해서 필자는 세친에 의한 육상설의 사법 적용 제외를 완전히 폐지함으로써 이법과 사법에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해진 육상설을 통해서 연기다라니법의 무분별한 세계 즉 이사무애, 사사무애, 이이무애의 무장애법계를 나타내고자 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하였다.
This paper attemps to analyze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六相說, hereater the Theory) as a preparatory step to reveal how the Huayan thoughts of Wonhyo and Uisang are the same and different. Among the various themes on the Theory, I focus on the structure of the six components and the scope of the Theory's application. First, I summarize the flow of the discussion from Vasubandu's Daś abhūmikasūtraśāstra (Shidijinglun, 『十地經論』) to Zhiyan(智儼). It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the whole(總相) and parts(別相) until Zhiyan has not changed much from that of Vasubandu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unity(同相) and diversity(異相), and the characteristics of entirety (成相) and its fractions (壞相) has shown very wide range of changes. As is well known, limitation of the Theory’s scope of applicability to the realm of phenomenal dharmas has been abandoned by Huiyuan(慧遠) but unconditional abolition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realized at the stages of Huiyan and Zhiyan. Of these very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Theory, Wonhyo's theory stands out in th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y and diversity but generally speaking, it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Dilun school. However, Uisang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and parts. As for the reason for the change, I presume that he tried to show Huayan's unhindered dharma realm by the Theory which has been changed to be applicable to the dharma realm of principle and the dharma realm of phenomena. |
目次 | Ⅰ. 회자정리(會者定離) 140
Ⅱ. 육상설의 흐름: 『십지경론』에서 지엄까지 144
Ⅲ. 원효 152
Ⅳ. 의상 158
Ⅴ. 거자필반(去者必返) 163 |
ISSN | 25863843 (P) |
ヒット数 | 72 |
作成日 | 2024.01.07 |
更新日期 | 2024.01.07 |
|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