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금강삼매경』 「본각리품」의 수증관에 대한 고찰 ― 『금강삼매경주해』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es and Enlightenments about Jingangsanmeijing 「金剛三昧經」 Benjuelipin「本覺利品」 - Jingangsanmeijingzhujie -centered
著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掲載誌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巻号v.7 n.0
出版年月日2020.10
ページ187 - 222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サイト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キーワード반야바라밀=prajñā-pāramitā; 암마라식=amala-vijāna; Yuancheng=원징; 원효= Wonhyo; 본각리품= Benjuelipin; 금강삼매경주해= Jingangsanmeijingzhujie; 금강삼매경론= Gumgangsammaegyungron; 금강삼매경=Jingangsanmeijing
抄録『금강삼매경』은 일찍부터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을 통해서 그 내용과 사상적인 특징이 알려져 왔다. 그런만큼 원효의 안목이 투영된 입장에서 『금강삼매경』을 이해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중국 명대의 원징 『금강삼매경주해』는 선종의 입장에서 주석한 것으로 처음부터 선사상과 선수행에 근거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원효가 보여 준 견해와 상당히 다른 모습이 많이 노출되어 있다. 원효는 경전의 구성에 대하여 무상법품과 무생행품, 본각리품과 입실제품, 진성공품과 여래장품을 짝지어 설명하였지만, 원징은 각 품을 독립적인 입장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 고찰하는 본각리품에 대해서는 여타의 품과 독립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곧 중생이 일찍부터 본각을 갖추고 있는 까닭에 더욱더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수행을 말미암지 않으면 안 된다는 질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생이 모든 정식을 굴려서 암마라식에 나아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하여 암마라식에 나아가서도 다시 거기에 주착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이르기까지 불의 답변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본각리품은 본각과 리행의 측면에서 자리와 이타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것을 선종의 본래성불의 사상과 관련하여 그 수증의 구조를 고찰한다.

Jingangsanmeijing has been known for i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Gumgangsammaegyungron of Wonhyo(元曉) from early on. However, Yuancheng(圓澄) Jiangsanmeijingzhujie of Chinese Ming Dynasty is annotated from the standpoint of Zen Zhong and shows understanding based on Zen thoughts and Zen practices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from the views of Wonhyo. Wonhyo explained the composition of the scriptures by pairing the item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ifth, the sixth and the seventh respectively, but Yuancheng grasps each item as an independent position. Now, this paper approaches Benjuelipin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with other parts. This Benjuelipin is a story that because the regeneration has Benjue early on, it must be done to implement it more and more. More specifically, the question is whether regeneration can roll all the anguish and move on to amala-vijāna, and what is the way? The answer to this is that you should not go to amala-vijāna and stick to it again. In the end, what Benjuelipin is saying is to benefit oneself and also to the others, which leads to prajñā-pāramitā.
目次Ⅰ. 서언 188

Ⅱ. 운문 원징과 『금강삼매경주해』189

Ⅲ. 선경으로서 『금강삼매경』198

Ⅳ. 본각·리행과 본래성불의 접점 204

Ⅴ. 「본각리품」에 드러난 수증의 구조 210

Ⅵ. 결어 217
ISSN25863843 (P)
ヒット数35
作成日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9081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