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불교학=modern Buddhist scholarship; 고대불교사; 법=法; 교=敎; 기억=memory; 념=念; 경전; 정전화=正典化; 성문화=成文化; recollection; Buddhist text; canonization; codification
摘要
본고는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된 유럽 근대불교학의 한 성과로 일컬어지는 초기불교사에 대한 재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유럽 근대불교학은 문헌학적 방법론과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통해 초기불교의 모습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초기불교사, 특히 불멸(佛滅)후 부파 성립에 이르는 기간의 경우 후대 전승의 문헌 기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그 마저 서로 상충되거나 ‘역사의 침묵’이라 할 수 있는 많은 결여 부분들 (missing links)이 많기 때문에 그 재구성의 과정에서 추정과 역사적 상상력은 불가피하였다. 본고에서는 초기불교사를 재구성하는데 적용되었던 유럽 근대불교학의 암묵적 전제들을 재검토하고 불교의 종교적 사상적 특징에 입각한 새로운 재구성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모색은 문헌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넘어 고대불교를 ‘상상’하는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is paper concerns European reconstruction of early Buddhist history, whic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ajor achievement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of late 19th century Europe. Despite the scarcity of historically datable textual sources in Indian Buddhism, European Buddhist scholarship has made considerable achievement in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early Buddhism through highly developed philology of their times and archeological research on various Buddhist sites. However, the early history of Buddhism, especially the period beginning with the Buddha’ s death and subsequent formation of various Buddhist sects, has left us with only records of Buddhist texts from the later period, which are often inconsistent and at odds with each other. Moreover, due to many missing links, historical imagination and speculation were inevitable in the reconstruction of early Buddhist histor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tacit assumption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assumptions which were applied in reconstructing early Buddhist history, and I explore a new way of reconstructing early Buddhist history based on reflections o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rather than solely through philological methodology employed in modern European Buddhist scholarship. This will open up various ways of imagining/reconstructing early Buddhism that are beyond the limitations of philological methodology.
目次
I. 문제제기: 역사의 부재 136 II. 유럽 근대불교학의 초기불교사 '재구성'에 대한 검토 144 III. 법(法, dhamma)과 기억 154 1. 법(法, dhamma)과 교(教, sānana) 154 2. 삼명(三明, tevijjā) vs 명행(明行, vijjā-caraṇa) 161 3. 기억의 문제 164 IV. 결어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