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MBSR 프로그램의 불교 명상적 기반 -- 교과과정 및 치유원리를 중심으로 =Buddhist Foundations of the MBSR Program ―With an Emphasis on Its Curriculum and Healing Mechanisms
作者 안희영 (著)=Ahn, He-young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26
出版日期2010.08
頁次359 - 408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MBSR; 마음챙김; 사념처; 카밧진; 스트레스; 심신의학=mind-body medicine; 대념처경; 탈중심화; decentering; embodiment; Satipattana; Jon Kabat-Zinn
摘要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핵심 수행 방법인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만성 심신 질환에 고통 받는 환자들을 위해 개발된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MBSR) 프로그램의 불교사상적 기반과 교과과정, 치유원리를 탐색하는 것이다. MBSR은 카밧진이 전통적으로 진리탐구에 헌신한 수행자들의 전유물이던 마음챙김 명상에 스트레스 의학과 교육적 요소를 보완하여 환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 심신치유 프로그램으로서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서구의 의학계에서 널리 운영되고 있다.
마음챙김 치료법 중 서구에서는 가장 임상적 연구가 많이 나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교명상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MBSR 프로그램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국내 논문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불교 명상의 치유적 응용에 대한 관점에서 관련 학자와 수행자들의 관심이 응집 된다면 현재 증가하고 있는 치유 프로그램 개발 논의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동서양의 많은 지혜 전통들이 MBSR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었지만 사성제, 대념처경, 호흡관법경 같은 불교사상이 그 근간을 이루고 있음은 명백하다. MBSR 프로그램은 불교적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그 종교적 색채는 배제하고 인류 보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한편 임상적 연구 결과를 많이 축적하여 의료계를 비롯한 주류사회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내재적으로 치유적이며, MBSR 은 초 종교적인 동시에 친 종교적 성격을 가진 프로그램이며, 그 치유기제로는 탈중심화 외에도 체화, 상상, 이성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고 시사하고 있다.
불교는 괴로움의 소멸을 목표로 동양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종교이지만 불교의 치료적 활용에 대한 연구는 현재 서양에서 더 활발한 관심을 끌고 있는 실정이다. 선원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마음챙김 명상전통을 병원과 일상생활에 적용한 MBSR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괴로움의 소멸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불교의 현대화 과제에 일말의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깨달음과 열반이라는 불교의 궁극적 목적을 잊지 않으면서도 일반인과 환자들을 위한 건강과 웰빙 증진, 자기조절 능력의 함양이라는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시대적 요청이자 불교인들의 과제이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Buddhist foundations, the curriculum, and healing mechanisms of the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program. Mindfulness is known to be part of the Eightfold Path, and is considered the heart of Buddhism. MBSR, founded by Jon Kabat-Zinn to help chronic patients who suffer from physical and mental distress, has been increasingly accepted in many general hospitals all over the world and in particular, in North America as a mind-body medicine modality which complements Western modern medicine. However, little is known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bout its connections with Buddhism, or its curriculum and healing mechanisms. In addition to decentering, long-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healing mechanisms of mindfulness, this paper proposes embodiment as a main healing mechanism of MBSR, along with imagination and rationality.
To achieve its professed goal, this paper describes the context in which MBSR originated in America,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mindfulness, philosophical foundation of MBSR, its curriculum, and the healing mechanisms. Since this paper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an adult educator-cum- MBSR teacher, it would be of great help if in-depth studies of the program by Buddhist scholars could be available to the public, given the fact that MBSR owes much to Buddhist meditation.
Although various wisdom traditions have influenced the MBSR curriculum, it is evident that the Buddhist tradition contributed the core model in the form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Mahasaipatthana Sutra, and the Anapanasati Sutra. This paper briefly sketches out the influence of these sutras. Despite the fact that MBSR grants the license to MBSR teachers, these Buddhist underpinnings have never undergone any change.
This paper is premised on the fact that mindfulness is intrinsically healing and liberating and that it is a state which is universal to every human being, not specific to any particular culture or religion. This suggests that even though MBSR dates back to the Satipattana tradition in early Buddhism in terms of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MBSR is a non-sectarian, non-religious educational program to help patients reduce suffering. This paper proposes that MBSR has many healing mechanisms beyond decentering, which is considered the main mechanism of mindfulness, such as embodiment, imagination, and reason, etc.

目次I. 시작하는 말 362
II. MBSR 프로그램의 배경과 불교 명상적 요소 364
1. MBSR 프로그램의 등장 배경 364
2. 마음챙김의 정의 367
3. 불교 사상적 기반 372
III. MBSR 프로그램의 구조 378
IV. MBSR 프로그램의 치유기제 388
V. 마치는 말 399
ISSN15980642 (P)
點閱次數357
建檔日期2021.05.17
更新日期2021.05.1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494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