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의 주석 전통과 과문(科文)의 발달=The Significance of the Gwamun Tradi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Exegetical Tradition in East Asian Buddhism
作者 조은수 (著)=Cho, Eun-su (au.) ; 서정형 (著)=Suh, Jung-hyung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41
出版日期2014.12
頁次1 - 25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동아시아 불교의 주석 전통=Exegetical Tradition of East Asian Buddhism; 과문=科文=Gwamun (Kr.)= Kewen (Ch.); 과판=科判=Gwapan; 과목=科目=Gwamok; 과도=科圖; 과경=科經; 현담=玄談=Hyeondam=Interpretive essay; Gwadan =科段; Commentary
摘要동아시아 불교계의 교학 전통에서 쓰여온 과문(科文)의 전통은 불교의 문헌 분석 방법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과문이란 경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경론의 해석을 위하여 경론의 구조를 장절(章節)로 분석, 트리 구조로 도식화한 것이라 간단히 정의할 수 있지만, 그 형식을 하나로 통일하여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과문은 한문 문화권에서 불교의 주석 전통 발달에 따라 오래 내려온 독특한 문헌 장르로서, 동아시아 불교의 학술 전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불교 문헌들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문헌이 지닌 의리를 구분하고 자구를 체계적으로 쪼개어 분석하고 해석하는 주석의 전통이 크게 발전한다. 주석은 분류와 분석이라는 학술적 행위를 기반으로 삼으며 이러한 주석의 전통을 담지해온 방법 또는 형식이 바로 과문이다. 과문은 대량의 주석 문헌이 생산됨에따라 그것을 읽고 연구하고 비교하는 중요한 도구이자 문헌간의 관계를 정하고 평가하는 일종의 표준이 되었다. 대규모의 원전과 다층의 장소들을 수십 단계에 달하는 복잡한 구조로 분석하고 이를 다시 하나의 체계로 묶어서 통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주석문헌을 체계화하고 정교하게 한 것이니 일종의 문헌분석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석전통의 전개와 과문의 발달 간의 상관관계를 살피고자 150여건의 과문 문헌들을 분석하여 형식적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형태적으로 분류하는 것 외에, 주석 형식의 변화에 따라 과문의 형식이 분화해간다는 것도 보이고자 했다. 주석 전통이 발달함에 따라 주석서는 총서(總序) 및 현담(玄談)의 서술, 과단(科段)의 설명, 과문(科文)에 의한 본문 해설의 순으로 표준적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문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실행되면서 불교의 학문 전통과 교육 전통의 전승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동아시아 불교 전통 내지 동아시아의 철학 전통의 이면에 독특한 사유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논리 구조를 밝히는데 과문 분석은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나아가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와 도가를 포함한 아시아 고전의 독해법과 논리 및 논증의 체계를 이해하여 앞으로 동양의 고전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As Buddhist texts were translated to Classical Chinese in East Asia, a rich tradition of commentary and analysis developed. These commentaries analyze the sūtra’s structure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meaning. They also comprehensively dissect a scripture’s phraseology and wording. Gwamun in Korean or Kewen in Chinese 科文 is a methodology and structure that effectively captures this commentarial tradition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In simple terms, a gwamun is an analysis of a commentary or scripture in the form of a multi-level, hierarchical tree diagram of topics connected by complicated lines, which reduces a multi-dimensional network of texts,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into a two dimensional visual form. Gwamun have served as an important tool to read, study, and compare the enormous amount of commentarial literature that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the many doctrinal sects in East Asia.
As the culture of gwamun developed and their structure became codified, a standard, systematic methodology of scriptural analysis unique to East Asian Buddhism developed around the principles of gwamun structural organizatio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CE. Gwamun and commentary shared a close interrelationship–the systematization of commentary structure led to a standardization of gwamun, and vice versa. Now commentary was a way of re-producing the scripture while also being able to introduce original thought.
It seems that gwamun were first used to analyze the body of the text as detailed exegesis. As the addition of the interpretive essay became standardized, gwamun expanded its focus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commentary, including the author’s interpretation. Gwamun became a major insightful tool to understand the entirety of not only a commentary’s form but also its content.
In this paper we will showcase the results of our project to analyze over 150 gwamun texts, examine their characteristic forms, and argue that the Buddhist scholars’ efforts to codify and standardize the tradition of commentarial literature were one aspect of a broader intent to intellectually and logically systematize the entire scope of East Asian Buddhism, its texts, and the theories contained within. At a time when many different texts and thought competed with each other, their structural coherence, complexity, and completeness of logical organization could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legitimacy of their doctrine. Through this culture of commentary and gwamun organization, scholastic Buddhism in East Asia reached a new level of development.

目次I. 들어가는 말 2
II. 과문의 기능와 해석학적 의의 4
III. 과문의 구성요소 7
IV. 주석 문헌의 전개에 따른 과문의 여러 형태 9
V. 나가는 말 22
ISSN15980642 (P)
點閱次數171
建檔日期2021.06.08
更新日期2021.06.0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643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