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입사행론』=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이입=理入; 벽관=Wall-Gazing; 스즈키 가쿠젠=Suzuki Kakuzen; 이시이 코세이=Ishii Kosei; 종밀=Zongmi
摘要
보리달마의 저서로 전해지는 『이입사행론』에는 벽관(壁觀)이라는 수행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벽관이라는 수행법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 중에 일본의 스즈키 가쿠젠(鈴木格禪)과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가 가장 깊은 사색을 전개하였다. 스즈키는 ‘벽’을 인도 석굴사원의 그림이 그려진 벽으로 이해하였고, 이에 촉발되어서 이시이는 그 벽의 그림이 객체가 아니라 주체라고 하였다. 즉 벽은 마음이라는 관점이다. 마음이 온갖 현상을 다 만들어내는 것과 같다고 보는 것이다. 이는 화엄적 관점에서의 벽관 해석이라 볼 수도 있고, 새로운 하나의 관법을 제시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해석은 벽관이 설해지는 『이입사행론』의 문맥으로부터 벗어난 것이라는 점에 있다. 『이입사행론』에서 벽관이 설해지는 문맥은 인간에게는 본래 청정한 마음이 있지만 번뇌망상으로 덮여 있다고 보면서, 다시금 망상을 버리고서 참다운 진성(眞性)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벽관을 닦으라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입사행론』의 문맥에서 보는 한, 벽관은 화엄적 관법이 아니라 유식적인 수행법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스즈키와 이시이는 벽관 이해를 함에 있어서 유식적 관점을 지적해내지 못했던 것일까? 본각문(本覺門)의 입장에서 이루어진 이입(理入)의 정의를 통해서 벽관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또한 ‘약야사망귀진(若也捨妄歸眞)’이라는 말을 삭제하고 ‘벽관’을 ‘각관(覺觀)’으로 아예 개변(改變)해버렸던 『금강삼매경』과 ‘달마의 법은 허종(虛宗)’이라 평가했던 도선(道宣)의 『이입사행론』 이해에 입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정작 벽관을 시각문(始覺門)이라 할 수 있는 유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는 종밀(宗密)의 해석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입사행론』에서 벽관이 설해지는 바로 그 문맥―사망귀진(捨妄歸眞)을 위한 수행법―에서 볼 때, 종밀의 벽관 이해야 말로 타당한 해석이었던 것으로 나는 본다. 물론, 그것은 최고의 선법이라는 것이 아니라 기초적인 선법이라는 것이었지만 말이다.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二入四行論, said to be the work of Bodhidharma, expounds a method of practice called wall-gazing 壁觀 (bìguā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so far on what exactly the nature of this practice is, nor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t. However, two Japanese scholars, Suzuki Kakuzen 鈴木格禪 and Ishii Kosei 石井公成, have demonstrated the deepest contemplation on the matter.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consider their research and briefly summarize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s follows. Suzuki literally interprets the wall in wall-gazing as the walls adorned with paintings found in the cave-temples of India. To this, Ishii argues that the wall is not a physical site or mere drawn objects, but rather the subject itself. In other words, the wall is the mind - the source of all kinds of phenomena. This kind of wall-gazing can be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Huayen school, or even a new method of observation itself. However the problem with this is that this interpretation deviates from the text of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The context in which the wall-gazing concept appears in this text is the premise that although people posses an originally clean mind, it is covered with defilements and delusions. Thus in order to shed these delusions and return to the true nature of the self one must practice wall-gazing. Under this context, wall-gazing has to be viewed as a Yogācāra practice rather than a Huayan practice. Then why did Suzuki and Ishii both fail to point out this Yogācāran perspective in their interpretations? It is because the two understood wall-gazing through the two entrances 二入 based on the path of fundamental awakening 本覺門 as noted in the Sutra of Diamond Samadhi 金剛三昧經. However, the notion of wall-gazing in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path of inceptive awakening 始覺門 for abandoning delusions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truth 捨妄歸眞. Thus, it is contradictory. Suzuki’s logical starting point is therefore mistaken. For instance, he rejects Zongmi’s 宗密 (780-841) Yogācāran interpretation of inceptive awakening 始覺門, but accepts the Dao Xuan’s 道宣 (596~667) perspective that simply renamed wall-gazing to coarse apprehension and fine analysis 覺觀, judging that Bodhidharma’s teachings were false. As Zongmi’s understanding demonstrates, wall-gazing is basically a method of meditation which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ll schools of Chan. However, because of its generality, Suzuki cannot accept this theory. I agree with Zongmi’s interpretation of wall-gazing as a basic method of Chan meditation in the Treatise o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It is reasonable that the technique of meditation taught for the initial step is a beginning one, not a complicated and advanced one. Therefore, Zhiyan 智儼 (602~668) evaluates wa
目次
I. 머리말 145 II. 벽관, 시각문(始覺門)의 수행법 147 III. 벽, 기능적 구조물 151 IV. 벽관, 기초적 선법 158 V. 맺음말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