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최초기 불교전통에 나타나는 자이나전통의 전지자(sarvajña, 一切知者) 주장 비판의 맥락과 함축=The context and implications of the critique against the omniscience (sarvajñatva) of Mahāvīra in the earliest Buddhist texts
作者 강성용 (著)=Kang, Sung-yong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60
出版日期2019.09
頁次81 - 111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sarvajña; kevalin; 一切知者; 마하비라=Mahāvīra; 자이나; Sandakasutta; 이원론; Jainism; dualism; determinism; kaivalya
摘要본 논문은 (최)초기불교에서 붇다 자신이 명확하게 비판하고 거리를 두던 전지자 (sarvajña, 一切知者)로서의 지위에 대한 태도의 맥락을, 자이나전통과의 긴장관계 때문에 이루어진 부자연스러운 차용이었다는 출발점에서 설명하고, 그 이면에는 “모든 것을 안다”고 할 때의 “모든 것”(sarva, 一切)의 어원적이고 문화사적인 의미가 이러한 차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을 밝히면서 시작한다. 이 점을 해명해 낸 J. Gonda와 P. Jaini의 연구업적을 전제로 하고, 왜 자이나전통에서는 마하비라(Mahāvīra)가 전지자로 상정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자이나전통의 해탈론을 중심으로 그 이원론적 맥락을 밝히게 될것이다. 이 맥락 안에서 전지자가 되는 일이 마하비라가 도달했다는 “nirvāṇa”혹은 “mokṣa”라고 불리는 경지에 대한 이해와 직접 연관된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렇게 해탈 론과 연관시켜 논의를 진행시키는 것은 붇다가 전지자여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이유는 물론이고 마하비라의 전지자로서의 지위가 함축하고 있는 결정론(determinism) 적 관점을 불교도들이 조소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던 이유를 해명하는 가장 적확한 길이 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측면에서 마하비라가 가졌던 것으로 보이는 결정론적인 관점이 보다 진지한 철학적인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 문제가 인도철학사 전반을 관통하는 이원론의 핵심 문제라는 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초기불교에서 조소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가, 나중에 바비베까(Bhāviveka)의 저술에 가서는 거꾸로 자이나교 도들이 전지자로서의 붇다를 비판하는 근거로 등장한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이 맥락은 쉽게 간과할 만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불교전통 내부에서 꿰뚫어 알아차림 (prajñā)을 중심으로 해탈에 대한 교리체계를 재구성하던 전통이 후대에 붇다의 전지자 로서의 지위를 수용하는 일에 힘을 실었을 것이라는 필자의 추정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context of the Buddhist critique against the omniscience (sarvajñatva) of Mahāvīra in the soteriological context of the earliest Buddhism in India. Based on the scholarly achievements of J. Gonda and P. Jaini, it will be illustrated that the adoption of the omniscience of the Buddha was an unnatural borrowing from the Jaina tradition into the Buddhist tradition due to the competitive pressure caused by Jainism. It will also be shown that the connotation of the term “sarva” in the sense of “complete” has made it easier for the Buddhists to
transform the meaning of the term for easy adoption on their part. Furtherm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enlightenment of Mahāvīra, the basic dualistic ontological structure will be identified in contrast to that of the Buddha, in which other kinds of knowledge, namely three vidyās (tevijja), are counted. This contrast makes the
context evident of why the Buddhists consider the deterministic understanding of the Jains about the world ridiculous. But considering the basic dualistic ontology behind the deterministic view of Jainism, the Jaina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istic character of the world reported in the Sandakasutta deserves much more careful interpretation. The case of Sarvajñasiddhinirdeśa chapter of the Madhyamakahṛdaya which reports the inverted attack from Jains against the omniscience of the Buddha makes this need more urgent.
目次I. 들어가는 말 82
II. 자이나전통의 해탈과정 서술 84
III. 궁극적 인식주체와 이원론 87
IV. 현실세계를 벗어난 인식의 문제 91
V. 불교전승의 해탈과정 서술 93
VI. 붇다의 비판적 태도 95
VII. 불교전통의 전지자에 대한 입장 변화 98
VIII. 불교에서 바라본 자이나의 결정론 101
IX. 문제의 보편성과 불교사상사에서의 특수성 103
ISSN15980642 (P)
點閱次數155
建檔日期2021.07.09
更新日期2021.07.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92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