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선후기 불교와 민간신앙의 공존 양상 -- 산신・칠성 신앙의 불교화=The Modes of the Co-Existence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icization of the Mountain God and the Seven-Star Cults
作者 김용태 (著)=Kim, Yong-tae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61
出版日期2019.12
頁次75 - 10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內容註
關鍵詞민간신앙=folk religions; 도교=Taoism; 불교화=Buddhicization; 산신신앙=mountain god cult; 칠성신앙=seven-star cult; 산신각=mountain god shrine; 칠성각=seven-star shrine; 청문=invocation manuals
摘要본고에서는 민간에 전해지던 산신(山神)신앙과 도교의 칠성(七星)신앙이 불교와 만나면서 어떻게 변화되고 결합되었는지, 그 ‘불교화(佛敎化)’의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대로부터 한반도에서는 산악(山嶽)과 성수(星宿)가 주요한 신앙대상으로 받들어졌다. 그런데 조선후기에는 산신과 칠성이 불교와의 습합과정을 거치면서 승속(僧俗)의 공조 속에 사찰 공간 안에 산신각(山神閣)과 칠성각(七星閣)이 들어서게 된다. 산신각과 칠성각의 건립은 18세기에도 몇몇 사례가 확인되지만 본격화된 것은 19세기부터 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의례집의 청문(請文)과 의식문, 그에 따른 관념상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건축뿐 아니라 불화의 도상에서도 그러한 추세가 보인다.
조선후기의 산신신앙은 온갖 재앙을 없애고 복을 빌며 부모의 내세 명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고 그 효과를 바로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칠성신앙은 불교와 도교 각각의 흐름이 전해져오다가 조선후기에는 도불이 융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유교사회로 접어든 당시의 시대상을 고려할 때 필연적인 결과였으며, 어느한 쪽의 일방적 우세라기보다는 공조와 융합의 노정으로 볼 수 있다. 주류질서에서 밀려 타자화 된 민간신앙은 종교적 행위 공간을 확보하고 있던 불교에 기댈 수밖에 없었고, 불교 측에서도 새로운 신앙수요를 창출하고 저변을 넓힐 수 있는 유력한 방안을 찾은 것이었다. 고대로부터 이어진 산악과 성수 신앙은 불교와 도교를 만나 변용과 습합의 길을 걸었고, 그 종착지는 불교화를 통한 공존 및 사찰 공간 내로의 안착이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the Buddhicization of the mountain god and seven-star cults, focusing especially on how these indigenous folk traditions were transformed in their encounter with Buddhism and eventually merged into it. In the late Joseon, as the mountain god and the seven-star went through the syncretization with Buddhism, the shrines for these folk deities were constructed by monks and lay followers within the temple precinct. It was from the 19th century that these shrines became widespread. The acceptance of these two folk traditions into Buddhism during this period can also be confirmed in Buddhist invocation manuals and paintings.
Although the seven-star cult had its own trend of Buddhism and Taoism, which led to competition and conflict at times, such interactions rather created Buddho-Taoist amalgams of this cult. This phenomenon was in fact an inevitable outcome,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situation of the late Joseon in which Confucianism became ever more dominant. However, such amalgams reflect the process toward an eventual merge through coexistence and mutual transformation. Folk religions were marginalized and otherized and, therefore, should rely on Buddhism to expand its own religious space while Buddhism had to find more valid means to attract new followers and, thereby, broaden its social base. The mountain god and seven-star cults that had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encountered Buddhism and Taoism and underwent transformation and syncretization. The final destination for such a process in Korea was found within the temple space that shows the co-existence of the two traditions through the Buddhicization of these cults.
目次I. 머리말 76
II. 산악과 성수 신앙, 불교와 만나다 78
III. 조선후기 산신각의 건립과 청문의 변화 84
IV. 조선후기 칠성신앙의 전개와 도불 습합 91
V. 맺음말 99
ISSN15980642 (P)
點閱次數115
建檔日期2021.07.12
更新日期2021.07.1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933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