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The “Mahāy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ts Meaning and Use, and the Confusion thereof
作者 金濤=Jin, Tao
出處題名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仏教学レビュー
卷期v.22
出版日期2017.12.30
頁次151 - 190
出版者金剛大學
出版者網址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英文=English
附註項Author Affiliations: Illinois Wesleyan University
關鍵詞대승=mahāyāna; 절대성=Absolute; 입의=立義= Li-yi; 법의=法義=fa-yi; 위대함(大)의 7 가지 요소=seven aspects of greatness; 자기 숭배=self-glorification; 요시토 하케다=Yoshito Hakeda
摘要이 논문은 『대승기신론』, 특히 대의장인 「입의분(立義分)」에서 ‘대승(mahāyāna)’이라는 단어 해석에 초점을 맞췄다. 일반적으로 많은 현대 학자들은 “대승”이라는 단어는 (소승불교에 대응하는) ‘대승(Mahāyāna)’ 불교라기보다는 소위 ‘일심’으로 이해해 왔다. 즉, 진여로서 그리고 현상으로서 동시에 존재하는 마음으로, 이런 의미에서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 모두에서 이중적인 절대성으로 이해되어왔다. 논이 그것 자체로 ‘대승’불교의 가르침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몇몇 학자들에 의해 ‘대승’이라고 이름붙여진 ‘일심’에 대한 이러한 설명 때문이다. 이 논문은 ‘대승’을 이와 같이 ‘절대적’으로 읽는 것을 반박하고자 한다. 『대승기신론』에서 ‘대승’이라는 단어는 지속적으로 그리고 배타적으로 ‘대승’불교 또는 그것의 가르침을 가리킨다는 것을 논증한다. 그 ‘대승’이라는 단어가 대의장인 「입의분」에서 각각 ‘큼’과 ‘수레’로서 절대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지고 비유하는데 사용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대승’으로서 ‘대승’불교를 실현하고 숭상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논증한다. 그리고 ‘대승’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사용의 혼동이 ‘대승’을 절대적인 것으로 읽는 현대적 읽기를 초래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ading of the word “mahāy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or Qixinlun in its popular Chinese abbreviation), particularly in its synoptic chapter, namely, the Liyi fen (立義分). To many modern scholars, it refers not to the “Mahāyāna” or “Great Vehicle” Buddhism (as opposed to the “Hīnayāna” or “Lesser Vehicle” Buddhism) as it is popularly understood, but to the so-called “One Mind”(yixin 一心), a mind that exists simultaneously as Suchness and Phenomena and constitutes in that sense a dual-natured Absolute in both its quiescence and dynamicity. It is for this presentation of the “One Mind”, labelled “Mahāyāna” by some, that the treatise claims itself to be the teaching of the “Mahāyāna” Buddhism. This paper proposes to dispute this “Absolute
reading of “mahāyāna”. It argues that the word “mahāyāna” in Qixinlun refers consistently and exclusively to (and in that sense means) the “Mahāyāna” Buddhism or its teaching; that the word is used in the synoptic chapter of the Liyi to respectively characterize and metaphorize the Absolute as “great” (i.e., “mahā”) and “vehicle” (i.e., “yāna”) and, in doing so, to praise and glorify “Mahāyāna” Buddhism as a “great vehicle” and thus a superior teaching; and that the confusion of the meaning and the use of the word results in the modern reading of “mahāyāna” as the Absolute.
目次I. The Meaning of “Mahāyāna” in Qixinlun 155
II. The Use of “Mahāyāna” in Qixinlun 164
III. The Confusion of the Meaning and Use of “Mahāyāna” in Modern Qixinlun Scholarship 173
IV. Conclusion 182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2.201712.151
點閱次數226
建檔日期2021.08.13
更新日期2021.08.1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13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