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금강계만다라의 심성개발 응용 시론(試論)=The Application of Vajra-dhatu Mandala in Educational System of Mind Development
作者 정성준 =Cheong, Seong-joon
出處題名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卷期v.18 n.1
出版日期2012.06
頁次287 - 310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금강계만다라=Vajra-dhatu Mandala; 금강정경=Vajra Peak Tantra; 삼밀가지=Mandala Visualization; 밀교수행=Tantric practice; 심리치료=Mind training; 불교명상=Buddhist meditation
摘要만다라에는 회화적인 도상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 『대일경』에서 만다라는 ‘진리의 본성을 함축해놓은 것’이라고 설해져 있다. 또한 8세기 인도의 붓다구히야는 만다라를 ‘깨달음을 성취한 경지’라고 해석하였다. 요컨대 만다라는 회화적인 도상에 깨달음의 경지라는 형이상학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불교의 만다라는 인간심리의 내면세계에 잠재된 불성을 응집시키고 그에 대한 역동적 발현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보다 정교한 시각적, 심리학적 도구이다.
초기의 만다라는 종교적인 의식대상으로서 도상학적인 의미가 강했지만, 7세기 중엽 이후 성립된 『대일경』과 『금강정경』의 만다라에는 불교가 지닌 초기 및 대승불교교학을 조직화하고, 만다라에 표현된 불교의 교학을 인간의 내면에서 완성하려는 인간 심성개발의 취지가 강조되고 있다. 불교의 만다라는 12세기 중엽까지 출현하여 방대한 수의 만다라를 남기고 있어 후기 대승불교 시대에는 만다라가 불교수행의 근간으로서 중요시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밀교경전과 부속의궤에는 관정과 호마를 비롯한 만다라의 수행법이 설해진다. 만다라의 관상은 만다라의 도상과 기하학적인 문양과 더불어 수인(手印)과 진언(眞言)을 결합하여 수행자가 도달해야할 의식세계를 정교하게 표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만다라의 이론과 실천적 수행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의식적 교육과 심성개발이라는 교육적 의미에 근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정신의 개발과 치유의 도구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만다라가 지닌 효과와 능률은 인도 대승불교가 사라질 때까지 인도불교수행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번성한 사실에서 드러난다. 본 연구는 금강계만다라를 중심으로 만다라에 나타난 유가행의 실천체계를 현대교육의 심성개발과 치료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The modern application of Mandalas were firstly adopted to cure humans subconscious by visualizing Mandalas by C.Jung and were widely pervaded to western society which are developed to provide sources to meditational skill to cure mind and emotional problems. But those adoption of Mandalas do not consider structured process in visualizing Mandalas or backgrounds of doctrines concerning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shown in Buddhism.
The Vajra-dhatu Mandala in Vajra Peak Tantra were appeared in 7th century are based on Yogacarya theory of Mahayana Buddhism and it has realized the practice of Yogacarya by adapt the practice system to Mantras, Mudras and Mandalas. The structure of Vajra-dhatu Mandala consists of nine space which motive comes from practice of Sakyamuni Buddha who visualized dependent rising system by process of both retorgress and progress. Moreover there are Constructing Enlightened Mind Space(成身會) which consists of 37 deit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which displays the Mantras and Mudras, and those signs of 37 deities actually express the process of 37 steps of Buddhas realization.
The qualification of the practitioners in visualizing Vajra-dhatu Mandala are very particular which are defined in Tantric Cannons but if those Mandala practice are adopted to lay people's meditation for the educational purpose those step of 37 visualization can contribute to develop and cure practitioners mind.
In present day religious meaning of Mandala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educational tools so that the practice system of Vajra-dhatu Mandala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cure of emotional and consciousness problems of human beings.
目次I. 서언 2
II. 만다라 명상의 인식론과 용용 2
1. 서구의 만다라 응용의 역사 2
2. 만다라의 상징체계 3
II. 금강계만다라의 유가행 5
1. 불교 만다라의 인식론 5
2. 전식득지의 유가행 6
III. 금강계만다라의 수행이념 8
1. 금강계만다라의 연기적 세계 8
2. 16대보살의 수행차제 10
V. 결어 13
ISSN20926553 (P)
點閱次數77
建檔日期2021.08.23
更新日期2021.08.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9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